제품 수입 진행시 수입대행과 관세사무소 서비스 차이
제가 알리바바에서 제품수입을 하려고 합니다
처음 수입해서 바닥부터 알아가는 단계인데요
수입하려는 제품은 휴지와 물티슈인데요
휴지와 물티슈는 각각 위생용품인증 화장품인증도 받아야 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그래서 통관에 관한 문제도 있고 복잡한 절차들이 많아서 대행서비스를 이용할까 고민중에 있습니다
수입대행의 경우 통관절차와 인증에 관한부분도 도움을 주는 서비스가 있는것으로 알고있는데요
만약 제가 수입대행 안하고 관세사무소에 연락해서 관세사분에게 의뢰해서 진행하게 된다면
인증이나 통관 관련해서 서비스를 받게 되는건지 어느부분까지 서비스를 제공받는것인지
수입대행과 관세사무소와의 서비스 차이가 궁금합니다
지금 제 상황에서는 어떤서비스를 받는게 현명한건지 고견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관세사의 경우에도 통관 이외의 세관장확인대상인 인증 등의 업무를 대행합니다.
수입대행과 관세사무소의 서비스 중에서 대행 관련 업무의 취급범위 및 가격조건 등을 요청하시기 바랍니다.
비교 견적을 받아 필요한 업무 범위를 핸들링하는 업체와 합리적인 가격조건을 제시하는 업체를 선정하여 수입하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보통은 이러한 경우 관세사무소에 위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에 따라 수입통관에 관한 전반적인 부분을 모두 관세사가 처리한다고 보시면 되며, 수입대행의 경우에는 보통 물품의 검역만 대행하거나 전체 거래에 대하여 대행을 하는 것이기에 차이가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검역대행업체를 아신다면 직접 수입통관 및 검역하는 방법도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처음 수입하는 상황에서는 관세사를 통해 진행하는 것이 더 현명한 선택일 것으로 판단됩니다. 관세사는 통관 절차와 세금 납부, 법적 규정에 대해 전문적인 지식을 갖추고 있어, 복잡한 절차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하는 데 유리합니다. 특히 위생용품이나 화장품과 같은 제품은 법적 규제와 인증 요건이 엄격하므로, 관세사의 조언과 지원을 받으면 수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습니다. 관세사는 제품별 필요한 인증 요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통관 시 발생하는 법적 문제에 대해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수입대행 서비스는 전체 수입 절차를 포괄적으로 지원하지만, 인증과 통관 관련 문제에서 세부적인 전문성은 상대적으로 부족할 수 있습니다. 대행사는 인증 절차를 진행해 주는 편리함이 있지만, 제품의 법적 요건에 대한 심층적 조언이나 통관 절차의 법적 검토는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처음 수입을 시작하는 단계에서는 관세사를 통해 법적 요구 사항과 통관을 철저히 관리하는 것이 더 안정적이고, 문제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어 적합하다고 판단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