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단정한낙지284
단정한낙지28423.05.11

인류 역사적으로 쌀이 주식이 된 것은 언제부터 인가요?

인류가 처음부터 쌀을 주식으로 하지 않았을것 같은데요.

처음에는 수렵생활을 하다 점차 농경생활을 하고 감자 쌀 옥수수등을 먹게 된거 같은데 그중 현재 인류가 주식으로하는 쌀은 역사적으로 어떤 시대부터 어떤방식으로 주식이 된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가 쌀을 주식으로 본격적으로 이용한 것은 통일신라 시대부터로 알려진다. 우리나라의 재래벼는 쓰러짐에 약하고 도열병에 약하지만, 우리 풍토에 맞게 추위에 강하고 물이 부족해도 잘 자라는 특징을 가졌다.


    재래벼는 지금과 같이 수확량이 많은 형태가 아니라 천수답, 추운 날씨에서도 잘 자라는 벼로 점차 진화됐다. 조선 후기에 이르러 농민 스스로 우량 품종을 개발했고 일부 품종은 지식인들에 의해 장려되기도 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주식으로 곡물을 먹은 것은 5천년전 농경이 시작된 신석기 시대 부터이며 기장과 조, 피, 수수 등 작물을 먼저 먹다가 보리에 이어 벼가 들어오면서 식생활이 변화하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쌀이 처음으로 재배된 것은 세계적으로 보면 인도에서는 BC 7,000~5,000년대에, 중국에서는 BC 5,000년경(神農時代)에 벼를 재배하였다고 한다고 합니다. 한국에는 기원전 2,000년경에 중국으로부터 들어온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한국에 쌀이 보급되기 이전에는 잡곡(피 ·기장 ·조 ·보리 ·밀 등)을 주식(主食)으로 하였으나 1천여 년 전, 즉 통일신라시대부터 벼의 생산량이 많아지면서 쌀이 우리 식생활의 커다란 부분을 차지하고, 뿌리를 내리기 시작하였다고 합니다. 결국 쌀이 들어오면서 분식(粉食) 중심에서 쌀밥 중심의 식생활로 전환하게 되었고 그 후부터 한국에서 쌀이 차지한 정치적 ·경제적 ·농업기술적 위치는 너무나 뚜렷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쌀은 고조선 시대 부터 시작했지만 현대와 비슷한 쌀이 나오고 많이 대량으로 먹기 시작한 것은 조선시대 이후 일제감정기 때입니다. 이때 12개가 넘는 다양한 품종이 개발되고 좋아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