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안데르탈인이 발음을 일부만 할수 있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네안데르탈인이 모든 발음을 할수없는 구조라고 호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이런 구조로 어떤 발음을 못하고 어떤식으로 말하며 의사소통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네안데르탈인은 구강구조가 사피엔스와달라 모음을 잘 발음하지못했을것이라고 합니다. 특히 후두가 높은것이 특징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네안데르탈인은 후두가 현생인류보다 높은곳에 위치해서 모음발음이 어려웠을것이라고 합니다.
네안데르탈인이 현대인처럼 모든 발음을 자유롭게 할 수 없었던 이유는 해부학적 구조의 차이 때문이라고 추정됩니다. 특히 후두의 위치가 현대인과 달랐다는 점이 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입니다.
후두는 성대가 위치한 곳으로, 소리를 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현대인의 후두는 비교적 아래쪽에 위치하여 다양한 소리를 내는 데 유리하지만, 네안데르탈인의 후두는 더 위쪽에 위치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는 소리를 내는 공간이 제한되어 다양한 음색과 발음을 구현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을 가능성을 있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네안데르탈인은 어떤 발음을 못하는데도 불구하고 의사소통은 가능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정확한 발음을 알 수는 없지만, 후두의 위치 등 해부학적 구조를 고려할 때 고음역대의 소리나 복잡한 음절을 내기는 어려웠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즉, 현대인처럼 다양한 언어를 구사하고 미묘한 뉘앙스를 표현하는 것은 어려웠을 가능성이 높지만 네안데르탈인이 단순히 짐승처럼 울부짖는 소리만 냈다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간단한 단어나 문장을 통해 의사소통을 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몸짓이나 표정을 함께 활용하여 의사를 전달했을 것입니다.
네안데르탈인은 성대와 후두 구조가 현대 인류와 달라, 모든 발음을 하기 어려웠습니다. 특히 입천장과 후두 위치가 높아 정교한 모음 발음이 제한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대신 단순한 자음과 모음을 결합해 의사소통했을 것으로 보이며, 몸짓과 표정 같은 비언어적 신호도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게 없습니다. 과거에는 FOXP2 유전자의 존재가 말과 명료한 발음 등에 관여한다고 알고 있었지만, 최근에는 FOXP2 유전자와 별개로 언어 구사가 가능하다는 것을 밝혀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네안데르탈인은 후두와 인두 구조가 현대인과 달라 고음 발음이 어렵다고 추측이 되요
이들은 주로 낮은 주파수의 소리와 몸짓, 표정 등을 통해 의사소통 했을것으로 추정이 되요
안녕하세요. 박근필 수의사입니다.
네안데르탈인의 발음 능력 제한은 후두의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와 현생 인류와 다른 설골 형태 때문으로 추정되며, 이로 인해 다양한 자음과 모음을 조합한 복잡한 언어 구사는 어려웠을 것입니다. 따라서 그들의 의사소통은 제한적이었을 가능성이 높고, 비언어적 소통에 상당 부분 의존했을 것으로 추측되지만, 정확한 의사소통 방식은 여전히 연구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