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이 서로를 겨냥해서 관세를 부과하면 한국에게는 유리한 것이 있나요?
어느 유튜버가 설명하길, 최근 뉴스에서 미국과 중국이 서로 높은 비율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하는데,
중국의 경우, 미국 수출이 막힌 것이나 다름없어서, 제품을 제3시장, 특히 한국과 일본 시장에 싸게 팔것이라고 예측하는데, 실제로 한국에게 유리한 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미중 간 관세 전쟁이 격화되면 중국 제품이 미국 시장에 진입하기 어려워져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한국 등 제3국에 유입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한국 소비자는 저렴한 중국산 제품을 구매할 기회가 생겨 단기적으로는 유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 기업은 중국산 저가 제품과의 경쟁이 심화돼 산업 전반에 부담을 느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한국에 유리한 점과 불리한 점이 공존하며, 산업별로 영향을 다르게 받게 됩니다.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과 중국의 관세전쟁으로 한국이 반사이익을 얻기 보다는 세계 경기 침체로 인한 피해가 더욱 클 것이라고 보고 있으며, 주가시장이 이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과 중국이 관세 전쟁을 펼치면 한국에 유리한 것이 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그런 속담이 있습니다.
고래 싸움에 새우등 터진다 라는 속담 말입니다.
미국과 중국이 관세 전쟁을 치르게 되면
한국은 새우처럼 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미중 갈등이 심화 될 수록 우리나라가 얻는 이익도 있는데요. 중국과 경쟁 중인 기업이나 상품에는 긍정적으로 작용해 미국시장에서 우위를 점 할 수 있게 되고, 중국에서 미국 대신 우리나라로 수입 될 물건이 저렴하게 들어오면 국내 소비자 물가를 낮출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에게 유리한 것은 중국에서 그나마 애플의 아이폰 대비 삼성의 갤럭시의 가격경쟁력이 올라간다는 점입니다
그러나 단점이 훨씬 큰데 양국의 경제가 어려워지게 되면 우리나라는 중국과 미국에 수출하는 비중이 가장 높은데
이 때 우리나라 수출에 대한 피해가 커지게 되는 단점이 발생합니다.
감사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미국의 대 중국 부과 세율에 비하여 현재 10% 보편 관세만 부과될 것으로 유예기간을 받아 놓고 있으며 그이외 자도차 자동차 부분품 등의 품목에 대한 협상 여지에 대한 정부 노력도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중국 물품에 대한 우리나라의 대체 품 개발 가격 경쟁력 반도체 시장에 대한 중국 대체 선점 등에 대한 유리한 지점이 생길것으로 기대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이 이번 상호관세로 채권시장이 폭락하고 각 지역별로 공동화되고 유로까지 멀어지는 모습이 나타났습니다
이로인해서 우선 협상을 동맹국인 한국 일본을 최우선으로 했습니다
이 이야기는 미국도 조바심이 있고 한국이나 일본이 이 과정에서 미국내 사업에 있어 주도권을 쥘 가능성이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수 있습니다
이 기회로 한국기업이 미국내 사업점유를 확대하는 기회로 작용할수도 있어보이나 상호 관세 10프로는 다부과되면서 이런 수출 상한이 내려온건 악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