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일단신비한진돗개
일단신비한진돗개

혈액응집반응정도예상결과알려주세요,?

혈액형 따라 수혈 가능여부가 다른데 그 중 O형은 본인 제외 혈액형에 소량 수혈이 가능하잖아요? 그 이유는 a.b항원이 없기 때문에 수혈받는 혈액의 항체가 면역반응을 일으키지 않아서이고요,… 그러면 소량의 서로 다른 두가지 혈액을 섞는 실험에서 O형.다른 혈액형 혈액 섞은 건 A,AB섞은 거나 A,B섞은 거 보다 응집 반응이 더 소규모? 반응이 작게 나타나야 한,ㄴ 거 아닌가요? 실험해보니 A.AB가 실험반응이 젤 작아보이고 딴 건 다 비슷비슷해 보여서요ㅠㅠ 왤까요?

제발 자세한 답변 부탁드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혈액 응집 반응은 혈액형 특정 항원(Antigens)과 항체(Antibodies)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합니다. 혈액형은 표면에 존재하는 특정 당단백질 구조에 따라 결정되며, 이 구조는 면역 시스템에 의해 자가 또는 이물질로 인식될 수 있습니다. O형 혈액은 A형과 B형 항원을 띠지 않는 특성상 보편적 기증자로 분류될 수 있지만, 모든 혈액형에 대해 보편적 수혜자는 아닙니다. 이는 O형 혈액이 A항체와 B항체를 모두 포함하고 있어, A형 혹은 B형 항원을 지닌 타인의 혈액과 혼합 시 응집 반응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혈액형 간 혼합에 따른 응집 반응의 정도를 이해하려면, 각 혈액형의 항원과 항체의 상호작용을 자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O형 혈액과 A형, B형, 또는 AB형 혈액이 혼합될 경우, O형 혈액의 항체가 A형 혹은 B형 항원과 반응하여 응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반면, A형과 AB형 혈액의 혼합에서는 A형 항원이 양쪽 혈액에 공통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응집 반응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실험 결과에서 A형과 AB형 혈액의 혼합이 다른 혈액형 조합에 비해 상대적으로 응집 반응이 적게 나타난 것은 이러한 항원-항체 반응의 부재 때문입니다. 반면, 다른 혈액형 간 혼합에서 비슷한 수준의 응집 반응이 관찰된다면, 이는 혼합된 혈액 간에 서로 다른 항원과 항체가 상호 작용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반응은 혈액을 기증하거나 수혈받을 때 매우 중요한 고려사항이 되며, 잘못된 혈액형 간의 수혈은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응집 반응의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은 의료 실무에서 혈액형 호환성을 평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1명 평가
  • O형 혈액은 A와 B 항원이 없기 때문에 다른 혈액형과 섞었을 때 면역 반응이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실험에서 A형과 AB형을 섞은 경우 응집 반응이 작게 나타난 것은 실험 조건이나 변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특히, 각 혈액형에 포함된 항체의 양이나 실험 환경의 차이 등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혈액 응집 반응은 복잡한 면역 반응이기 때문에 항상 예측된 결과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네, 맞습니다. O형 혈액은 A, B 항원이 없기 때문에 다른 혈액형에 비해 소량의 다른 혈액형 혈액 수혈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O형 혈액과 다른 혈액형 혈액을 섞어 실험을 할 경우, 모든 조합에서 응집 반응이 일어나야 합니다.

    O형 혈액은 A, B 항원이 없지만, A, B 항체는 가지고 있습니다. 즉, O형 혈액에 다른 혈액형 혈액을 섞으면, O형 혈액의 A, B 항체가 다른 혈액형의 A, B 항원에 반응하여 응집 반응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하지만, 실험에서 관찰되는 응집 반응의 정도는 혈액의 양과 비율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소량의 다른 혈액형 혈액을 섞는 경우 O형 혈액의 A, B 항체가 모든 다른 혈액형 항원을 완전히 공격하기에 충분하지 않아 응집 반응이 작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O형과 같은 혈액형 혈액 (O형 혈액끼리) 을 섞는 경우에는 응집 반응이 더욱 미미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A형과 AB형 혈액을 섞는 경우 A형 혈액은 B 항체를 가지고 있고, AB형 혈액은 A, B 항체를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A형 혈액을 AB형 혈액과 섞으면, A형 혈액의 B 항체가 AB형 혈액의 B 항원에 반응하여 응집 반응이 일어납니다. 하지만 AB형 혈액에는 이미 A, B 항체가 존재하기 때문에, O형 혈액과 다른 혈액형 혈액을 섞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응집 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험에서 관찰된 응집 반응의 정도만으로는 혈액형별 수혈 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혈액형 검사를 통해 자신의 혈액형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죠.

  • 안녕하세요. O형인 사람의 혈액의 적혈구에는 A, B항원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다른 혈액형에 O형의 혈액을 수혈 가능합니다. 그러나 항A 항체(anti-A), 항B 항체(anti-B)가 O형 혈액에 존재하므로 다른 혈액형의 혈액과 만날 시에는 응집반응이 강하게 나타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