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물리

고매한크낙새25
고매한크낙새25

비행기가 나는 동력은 뭔가요?

로켓처럼 추진체가 계속 나오나요? 뜰때 막 퍼붓고 다음에는 좀 잔잔히 트나요? 근데 무거운데 잔잔히 틀면 다시 떨어지는거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과학하는 북극곰
      과학하는 북극곰

      안녕하세요. 김현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가 날 수 있는 원리는 '리프트(Lift)'라는 힘 덕분입니다. 이는 비행기의 날개 형태와 공기의 흐름에 의해 생성되는 힘입니다. 비행기의 날개는 위로는 볼록하고, 아래로는 평평한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형태 때문에, 비행기가 전진하면서 공기는 날개 위를 아래보다 더 빠르게 통과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날개 아래의 공기 압력이 날개 위의 공기 압력보다 높아지며, 이 차이로 인해 생성되는 힘이 바로 리프트입니다.

      비행기의 동력은 주로 엔진에서 나옵니다. 비행기의 엔진은 '터빈'이라는 장치를 가지고 있는데, 이 터빈은 연료를 연소시키면서 발생하는 가스를 뒤로 방출함으로써 비행기를 앞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뉴턴의 제3법칙인 '힘의 작용과 반작용 법칙'에 의한 것입니다. 터빈이 가스를 뒤로 방출하면, 그 반작용으로 비행기는 앞으로 전진하게 됩니다. 비행기가 이륙할 때는 엔진의 출력을 최대로 높여서 충분한 속도를 얻습니다. 그리고 이 속도를 유지하면서 날개로 충분한 리프트를 생성하면, 비행기는 공중에 뜰 수 있습니다. 이후에는 엔진 출력을 조절하여 비행기의 속도와 고도를 유지합니다. 이때 엔진이 약해지더라도, 비행기는 리프트와 중력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계속 날 수 있습니다. 비행기가 리프트를 잃거나 엔진 출력이 크게 감소하지 않는 한, 비행기는 공중에서 떨어지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는 엔진에서 생성되는 추력을 이용하여 날개에 의해 생성되는 양력을 이용하여 날아갑니다. 추력은 엔진에서 생성되는 동력으로, 비행기를 앞으로 밀어주는 힘입니다. 일정 속도가 되면 엔진을 감속하기도 하고 가속하기도 하여 속도를 조정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는 처음 속력을 낼 때에는 엔진의 힘을 통해 프로펠러 힘을 만들고 앞으로 나아갑니다.

      일정 속력이 발생하면 비행기 날개로부터 비행기동체를 들어올릴만한 충분한 양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엔진의 도움은 최소화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로켓은 추진체가 계속 나오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시간 동안 연소한 연료를 통해 추진력을 발생시킵니다. 로켓이 뜰 때는 연료를 많이 사용하여 강력한 추진력을 발생시키지만 높은 고도에 도달하면 연료 소모가 줄어들어서 잔잔한 추진력으로 비행합니다. 로켓의 무게가 무거워도 연료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면 잔잔한 추진력으로 비행할 수 있습니다. 비행기의 경우에는 엔진을 통해 발생하는 동력으로 비행합니다. 비행기의 엔진은 공기를 흡입하여 압축하고 연소시켜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는 로켓과 달리 추진체가 계속 나오지 않습니다. 비행기가 이륙할 때에는 많은 양의 추진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륙 초기에는 추진체를 많이 사용합니다. 이륙 후에는 비행기의 속도가 빨라지면서 양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추진력을 줄여도 비행기가 공중에 떠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행기가 잔잔히 추진력을 틀어도 다시 떨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비행기의 속도가 충분히 빨라지면 양력이 발생하여 비행기가 공중에 떠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비행기의 속도가 너무 느려지면 양력이 감소하여 비행기가 추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행기는 항상 일정한 속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의 날개에는 양력이 생기는데 비행기는 항공유를 태워 제트엔진의 추진력으로 빨그게 앞으로 날아갈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는 연료를 태워서 분사하는 동력을 이용하여 하늘을 납니다.


      비행기의 동력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추력은 비행기를 앞으로 밀어주는 힘입니다. 추력을 발생시키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방법입니다.


      프로펠러는 날개의 원리를 이용하여 공기를 뒤로 밀면서 추력을 발생시킵니다.


      제트 엔진을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제트 엔진은 연료를 태워서 발생한 고온의 가스를 뒤로 분사하면서 추력을 발생시킵니다.



      양력은 비행기를 위로 밀어주는 힘입니다. 양력은 비행기의 날개에서 발생합니다.


      비행기의 날개는 윗면과 아랫면의 형상이 다릅니다.


      윗면은 아랫면보다 볼록하게 되어 있어, 공기가 윗면을 통과할 때는 아래쪽으로 압력이 증가합니다.


      반면에 아랫면을 통과할 때는 위쪽으로 압력이 증가합니다.


      이로 인해 비행기의 날개는 위쪽으로 밀리는 힘을 받게 되고, 이 힘이 양력입니다.


      비행기가 하늘을 나르는 동력은 추력과 양력의 조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추력은 비행기를 앞으로 밀어주고

      양력은 비행기를 위로 밀어주어 비행기가 하늘에 떠 있게 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비행기가 나는 동력은 엔진입니다.

      비행기의 엔진은 공기를 흡입하여 연소시키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가스를 추진력으로 바꾸어 비행기를 움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