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시간이면 공부효율은 비슷할까요?
공부한 총 시간이 같으면 공부효율은 비슷한가요?
예를 들어 1시간분량의 공부를 총 5시간을 공부하는데 하루에 몰아서 5시간동안 5번 공부하는것과
5일동안 하루에 한번씩 공부하는것
어느쪽이 효율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여러번에 나눠서 반복적으로 학습하는것이 기억력에 도움이된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우재 과학전문가입니다.
침착한오징어101님께서 공부효율에 대해서 질문 주셨는데요.
우선 답변을 드리기 전에 몇가지 가정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우선은 공부하는 과목 혹은 분야가 단순 암기 혹은 5시간동안 집중하여 깨우쳐야 하는 특수한 원리를 기반하는 분야가 아닐것이라는 가정과 말씀하신 방식에 있어서 5시간을 하루에 한번하는 것과 일주일 즉 5일에 1회, 1시간씩 꾸준히 공부할때에는 '집중력'이라는 것이 반드시 기반되는데요. 이러한 집중력이 모두 동일하다라는 상황하에 비교를 할 수 있습니다.
공부효율은 '집중력' X '공부한 시간'이라고 단언컨대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공부에 대한 결과를 효율의 일부분이라고 본다면 공부효율은 '얼마나 공부한 내용을 이해하고 기억하고 있느냐?'에 있습니다. 따라서, 저는 5일동안 하루에 한번씩을 하는것이 보다 더 기억에 오래 남을 수 있다고 판단되므로 후자가 더 효율이 좋다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5일동안 충분한 수면과 함께 단기 기억보다는 공부기억이 장기기억으로 자리잡을 확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질문자님의 궁금증해소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의 뇌는 신기하게 잠자는 동안에 뇌는 깨어 있어서 잠자기 전에 학습한 내용을을 복습하면서 이해하기 쉬운형태로 재구성하고 그 기억을 응고화를 한다고 합니다. 응고화는 일반적으로 학습이 끝난 후 기억은 불안정한 상태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안정된 상태로 변화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기억 응고화라고 합니다. 결국 하루에 5시간 몰아서 공부하는 것보다 하루에 1시간씩 5일 5시간하는 것이 기억의 응고화에 더 효과적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공부한 총 시간은 중요하지만, 중요한 것은 그 시간동안 얼마나 집중하고 효과적으로 공부했느냐입니다. 따라서, 단순히 총 공부시간만을 비교하는 것은 공부 효율성을 평가하기에 충분하지 않습니다.
주어진 시간동안 최대한 효과적으로 공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일주일 동안 매일 조금씩 공부하는 것이 일주일 내내 하루에 몰아서 5시간 공부하는 것보다 더욱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이는 정기적으로 반복하는 것이 기억력과 학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일주일 내내 하루에 몰아서 5시간 공부한다면 피로도가 높아지고 효율적인 학습에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정한 주기로 조금씩이라도 학습하는 것이 공부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집중력과 몰입력을 유지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학습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공부한 총 시간이 같다고 해도, 공부하는 방식과 시간 배분 등에 따라 공부 효율은 상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5시간 동안 몰아서 공부하는 것은 지속적인 집중력을 유지하기 어렵고, 피로도가 높아지면서 공부 효율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반면에, 5일 동안 하루에 한번씩 공부하는 것은 지속적인 학습이 가능하고, 집중력과 기억력을 유지하기 쉬우므로 공부 효율이 높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부효율은 공부하는 방식과 시간 배분 등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개인의 학습 스타일에 맞춰 적절한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한도리 과학전문가입니다.
공부한 시간이 같다면, 공부 효율은 공부하는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하루에 몰아서 5시간 동안 공부하는 것보다는, 5일간 하루에 한번씩 공부하는 것이 효율적인 방법일 수 있습니다. 이는 일정 시간 동안 집중력을 유지하면서 공부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이에 대한 정답은 없습니다. 개인의 학습 스타일, 일정 및 우선순위, 목표 및 계획에 따라 다릅니다.
몰아서 5시간 동안 5번 공부하는 방식은 일정이 빠듯한 경우에 유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방식은 과도한 스트레스와 피로를 유발할 수 있고, 정보를 충분히 받지 못하고 넘어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면에 하루에 한 번씩 1시간씩 공부하는 방식은 일정 관리와 지속 가능한 학습습관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계획에 미리 여유를 가지고 설계하지 않으면 효율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두 가지 방식 중 어느 것이 더 효율적인지는 개인에게 따라 다르며, 각자의 학습 스타일과 일정에 맞게 적절한 학습 계획을 수립하여 학습 계획을 추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목표와 계획을 세우는 데 있어서는 학습 목적과 상황에 맞게 유연하게 대처하고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