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토목공학

컴포즈커피900원세일짱
컴포즈커피900원세일짱

한강 다리가 붕괴되는 사건이 성수대교가 대표적인데 무엇으로 붕괴가 된거죠?

성수대교 붕괴 사건이 정말 안타깝고 슬펐던 기억이 나는데요~

어떤 원인으로 다리가 붕괴된 건지 궁금해요!! 구조적 결함이나 설계상의 문제였던 걸까요?

당시의 교통량이나 유지보수 문제와 관련이 있었던 걸까요~?

당시에 많은 참사도 나고..진짜 아까운 사고지만 다리를 건널떄마다 성수대교 생각이 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염정흠 전문가입니다.

    그 시기 많은 건축물 붕괴는 부실시공이었습니다. 성수대교 역시 부실시공이 원인이었으며, 추가로 유지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입니다. 성수대교가 건설될 당시로써는 경험이 부족했던 트러스구조로 만든 교량이었습니다. 설계 경험도 부족했고, 시공 경험도 부족했습니다. 용접 결함, 볼트 체결 불량 등 여러 문제가 밝혀졌습니다. 그로 인해서 피로균열이 계속 진행되었는데 유지관리를 위한 점검 때도 문제 인식을 제대로 하지 못하였습니다. 당연히 적절한 보수가 되지 않으며 사고로 이어진 것입니다. 

    교량을 설계하고 시공할 때 교통량도 조사하여 추정치를 산정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교통량이 너무 많았다기 보다 부실시공과 유지관리 미흡으로 발생한 사고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원 전문가입니다.

    성수대교 붕괴의 원인은 감리, 안전, 시공, 부정부패에 의한 사고였습니다.

    교량을 지탱하는 주요 부재인 박스 거더의 용접 불량, 시공 중 발생한 부실한 관리, 그리고 설계상의 오류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습니다.

    또한, 당시 사용된 자재들의 품질이 낮았다는 점과 용접 부위에 불량이 많았다는 점이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성수대교 붕괴 사고는 구조적 결함과 부실한 유지보수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습니다. 특히 상판을 지지하는 트러스 구조의 용접 불량 등 시공상의 문제가 있었고,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교통량, 특히 대형 차량의 통행으로 다리에 피로가 누적되었습니다. 여기에 부실한 점검과 유지보수가 더해져 다리의 취약성이 심화되었습니다. 1994년 10월 21일 아침 출근 시간, 결국 상판 일부가 무너지며 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이 비극적인 사건은 우리 사회에 시설물 안전 관리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1995년 '시설물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정의 계기가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성수대교 붕괴 사건은 1994년 10월 21일에 발생했으며, 총 32명이 사망한 참사였습니다.

    붕괴 원인은 주로 부실한 시공과 설계 오류, 그리고 정기적인 점검과 유지보수의 부족이었습니다. 특히 연결부 용접이

    제대로 되지 않아 구조적 약점이 있었고, 피로 누적에 의해 금속이 파손되었습니다. 설계상 하중 분산에 대한 고려도

    부족해 중간 부위가 먼저 무너지며 전체가 붕괴했습니다.
    결국 안전보다 비용 절감이 우선된 관리가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