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보험

재산 보험

EKOPFG
EKOPFG

겨울철에 아파트에 화재가 많이 발생하는데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요

이제 본격적으로 겨울철이 시작되면 아파트에서도 화재로 인한 재산 피해가

늘 생기는것 같아요 그래서 궁금한데요 아파트 화재의 경우 어떤 이유로

많이 발생하는가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지연 손해사정사입니다.

    1. 난방기기 사용이 증가하여 접촉 방화 위험이 높아습니다.

    2. 전기 사용량 급증으로 인하여 과부하 누전 또는 합선이 화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3. 이외로 외출시 가스 밸브 잠그지 않거나 촛불을 켜둔 채로 두어서 발생하는 부주의 화재 등도 있습니다.

    4. 마지막으로 겨울철은 습도가 낮고 실내 난방 등 공기가 건조해서 정전기 발생 의 이유도 화재의 원인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덕원 보험전문가입니다.

    겨울철 화재가 집중되는 이유는 가정에 추위로인한 난방기구 사용이 늘어 화재발생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관우 보험전문가입니다.

    통계를 보면 2023년의 경우 공동주택 화재건수가 4868건인데 아파트는 2993건으로 61.5%입니다. 그리고 원인은 전기가 약 39%입니다. 그리고 부주의가 뒤입니다. 겨울철에는 난방과 주방의 조리빈도증가, 온수사용 등으로 전기사용이 늘어납니다. 소방청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 화재는 여름(6~8월)이 28.5% 이고 겨울(12~2월)이 25.5%로 여름 보다는 조금 낮습니다.

  • 안녕하세요. 마희열 보험전문가입니다.

    화재는 사시사철 발생하지만 그래도 겨울철에 발생율이 높은것은

    전기 난방 기구들 때문입니다,

    날씨가 추워서 난방기구들의 사용 빈도가 늘어나니까요.

  • 안녕하세요. 김지용 보험전문가입니다.

    겨울철은 추워지면서 건조해지기에 화재가 다수 발생하고 있습니다.

    추위에 건조함을 못느껴서 그렇지만 추울때 핸드크림을 자주바르는걸 생각하시면 건조하구나 라는 생각이 드실겁니다.

    그래서 이런 추위에서는 불이 나겠어라는 안일한 생각이 있어 더 안전불감증이 생기게 되구요.

  • 안녕하세요. 박경태 보험전문가입니다.

    겨울철 아파트 화재의 주요원인은 부주의이고 특히 음식물 조리 중에 깜빡하고 가스불을 꺼지 않는다거나 난방기기를 켜두고 인화성 물질을 놓아두거나 하면서 발생하기 쉽고 멀티태스킹 코드에 여러 고전력 전자제품 코드를 꽂아두거나 하는 등의 부주의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그 중에서 음식물 조리 중에 실수로 불이 옮겨붙는 경우가 많은데요. 기름기 음식의 경우에 제가 알기로는 마요네즈가 불을 끄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담배꽁초등 불씨도 조심해야 하지만 멀티탭에는 여러 기기를 동시에 꽂지 않는 것이 좋구요. 규격에 맞는 제품을 사용해야 합니다.

    조리 중에 자리를 비우지 말고 난방기기 사용할 때 과열방지나 자동 차단 기능을 확인해야 하고요. 전기장판은 접기나 겹쳐 사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멀티탭 사용시 정격 용량을 확인해야 하고요. 소화기, 화재감지기, 탈출 키트 등을 비치해야 합니다. 그리고 아파트 화재보험도 따로 가입을 해두셔야 합니다. 아파트 관리비에 화재보험이 들어가 있어서 보장이 된다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 그 화재보험은 아파트 공동시설인 엘리베이터, 복도에 대해서는 보장이 되지만 거주지 호에 가재도구, 설치된 시설에 대해서는 따로 보장을 하지 않기 때문에 따로 아파트 화재보험은 가입을 해두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장옥춘 손해사정사입니다.

    아파트 화재의 주요 원인은 부주의로 인한 화재와 전기적 결함및 과열로 인한 화재가 대부분입니다.

    부주의로 인한 화재로는 음식물 조리, 담배꽁초로 인한 화재등이 있고,

    겨울철 전기적 결함 및 과열로 인한 화재로는 난방기기의 과열로 인한 경우가 있습니다.

    즉, 난방기기를 켜두고 자다가 난방기기의 과열 또는 넘어지면서 발생하는 사고, 난방기기를 켜두고 외출하는 경우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보험전문가입니다.

    겨울에 화재가 많이 일어나는 것은 멀티탭의 과중 사용으로 인한 정격을 초과하여 화재가 일어나거나 또는 합선 등의 화재가 발생할 확률이 높습니다. 또는 건조한 기후에 마찰 등으로 인한 화재 또는 담배꽁초의 불을 끄지 않고 버리는 등의 행동을 통해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또는 각종 전기기기 뿐 아니라 보일러나 가스기기 등의 사용이상이나 고장으로 인한 화재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채정식 보험전문가입니다.

    겨울철 아파트 화재 주요 원인으로는 난방기구 사용의 부주의와 음식물 조리 중 불씨 방치 및 식용유 과열과 낡은 전기설비 및 멀티탭 과부하 등이 있다고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박경식 보험전문가입니다.

    ■ 부주의로 인한 화재 발생이 가장 많다고 합니다. 특히 음식물 조리중 발생한 화재가 탑!

    전열기구 사용이 많아서 겨울에 화재가 가장 많이 나겠구나 라고 짐작했었는데 저도 틀렸습니다. ^^;

    • 봄에 전체화재가 가장 많이 발생하고,

    • 아파트로 한정해서 보면 여름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발생원인은

    • 부주의로 인한 화재가 6,979건(49.5%)으로 전체 아파트 화재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는데,

    • 부주의 중에서도 음식물 조리 중 발생한 화재가 3,188건(45.7%)으로 가장 많았고

    • 담배꽁초 1,390건(19.9%)·불씨 방치 704건(10.1%) 순이라고 합니다.

    [첨부 자료]

    객관적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통계 자료를 써야 가장 좋지만,

    보도자료와 뉴스자료를 첨부 합니다.

    1, 2번자료 보시면 "화재발생건수"로 보면 봄이 가장 많습니다.

    (최근 5년간 계절별 화재 발생 비율)

    : 봄 28.0% > 겨울 26.7% > 여름 22.8% > 가을 22.5%

    3번자료 보시면 아파트 화재 건수만 보면

    최근 5년간 아파트에서 발생한 전체 건수 중 계절별로는 여름(6~8월)이 가장 많고,

    그 다음이 겨울(12~2월)로 나타났습니다.

    1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보도자료
    - (보도자료) 사계절 중 봄철에 화재 가장 多...2024 봄철 화재예방대책 추진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156617812&utm_source=chatgpt.com

    2 ● 뉴스자료

    - 5년간 봄철 화재로 1.5조 재산피해…담배꽁초 등 '부주의' 1위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311_0003094200?utm_source=chatgpt.com

    3 ● 뉴스자료

    https://m.boannews.com/html/detail.html?idx=125793&utm_source=chatgpt.com

  • 안녕하세요. 장재영 보험전문가입니다.

    건조한 날씨에 자잘한 개인의 부주의로 보통 많이 발생합니다.

    그 외 전기제품의 폭발 등이 요즘 많이 사례로 많이 나오고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