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강력한여새275
강력한여새275
25.04.12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은 어떻게 마무리 될지궁금합니다.

미국 도널드트럼프 대통령이 당선이후 보복관세를 시작해서 4월 전세계 금융시장등이 요동치는데요.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은. 어떻게 마무리 될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미국과 중국은 서로에게 물러서지 않고 점점 더 고세율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이에따라 주가 등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실제 무역분쟁의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는 미래의 역사적 평가가 있어야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을 듯 합니다.

    현재 상황

    트럼프 대통령은 2025년 4월 9일 중국을 제외한 모든 교역국에 대한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고 10%로 낮추는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반면, 중국에 대해서는 관세를 125%로 대폭 인상하며 강경한 입장을 취하고 있습니다. 이에 중국은 84%의 보복관세로 대응하며 맞서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호 보복 조치는 미중 무역전쟁이 단기간에 해결되기 어려운 상황임을 보여줍니다.

    과거 사례

    과거를 돌아보면, 트럼프 대통령은 2018년 중국에 대한 관세를 부과하며 무역전쟁을 시작한 바 있습니다. 2019년 말까지 양국 간 긴장이 고조되다가 2020년 초 1단계 무역협상을 통해 일시적인 휴전에 도달했습니다. 하지만 이 협상은 장기적인 해결책으로 이어지지 않았고, 이후에도 갈등은 지속되었습니다. 이 사례는 현재의 무역전쟁 역시 쉽게 끝나지 않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현재 양국의 입장

    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에 대해 강경한 태도를 유지하며 관세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중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들에 대해서는 관세를 유예하고 협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는 유연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중국: 중국은 미국의 관세에 보복관세로 대응하는 동시에, 미국 기술 기업들을 수출 통제 목록에 추가하는 등 경제적·전략적 대응책을 내놓고 있습니다. 이는 중국이 물러서지 않고 강하게 맞설 의지를 보여줍니다.

    전망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단기간에 마무리되기 어려워 보입니다:

    복잡한 갈등 구조: 양국 간 갈등은 단순한 경제 문제를 넘어 정치적, 전략적 이해관계로 얽혀 있습니다.

    강경한 입장: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에 대한 강경 정책과 중국의 맞대응은 협상의 여지를 좁히고 있습니다.

    과거 경험: 2020년 1단계 협상이 장기적 해결로 이어지지 못한 전례가 있습니다.

    만약 트럼프 대통령의 보복관세 정책이 지속된다면, 중국의 대응 역시 더욱 강경해질 가능성이 높아 무역전쟁이 심화될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려면 양국이 장기적인 협상 테이블에 앉아 상호 양보를 해야 하지만, 현재로서는 그러한 전망이 낙관적이지 않습니다. 이에 대하여 일부 사람들은 트럼프의 경우 임기가 제한적이지만 시진핑은 종신이기에 이를 노리고 최대한 트럼프를 무시할 수 있다고 판단됩니다. 또한 과거의 상황과 달리 미국의 고금리, 인플레이션이 심화된 상황이기에 과거보다 버틸 수 있는 체력이 약하다고 판단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