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유아교육 이미지
유아교육육아
유아교육 이미지
유아교육육아
곰살맞은곰46
곰살맞은곰4622.04.22

아이가 너무 산만해요..집중을 잘못하는것같아요

아이에게 한글을 가르치려고하는데...집중을하지못하고... 너무산만해요...가만히 있지를 못해요..공부를 가르치고 있으면 딴짓하고 자꾸 딴얘기하고그래요 어떻게 해야 아이가 집중을 할수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많이 산만하고 집중을 잘 못한다고 하신다면

    아이에게 운동을 가르쳐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태권도나 합기도 등 정신수련을 할 수 있는 운동을 추천드립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7.09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주로 언제 산만해지는지 생각해봅시다. 질문을 보면 식사시간과 책 읽는 시간을 예로 들어주셨네요. 만약 아이가 하루종일 산만하다면 ADHD가 아닌지 진지하게 고려해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런 것이 아니라면 밥을 먹고 책을 읽는 환경이 아이를 산만하게 하는 것은 아닌지, 또는 그 활동이 아이가 별로 좋아하지 않아서 다른 선호활동을 찾는 것인지 살펴보아야 합니다. 식사시간의 경우 아이가 자리에서 일어나는 것은 허용될 수 없습니다. 만약 자리에서 일어나 한 두번의 경고를 주었는데 계속 반복한다면 식사를 종료해야 합니다. 책읽기의 경우에는 아이에게 자신이 읽고 싶은 책을 고르게 하면 좀 더 집중해서 볼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한글이 생소하고 어렵기 때문에 접한 아이들이 당연히 보일 수 있는 반응입니다. 아이가 한글을 새활속에서 한글을 자주 접할 수 있도록 지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또 불필요한 소음등을 차단해주시기 바랍니다.(티비 등)


  • 안녕하세요. 이은별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어느정도 집중을 하지 못하는지 할수가 없으나

    아이의 경우 흥미가 없어서 나타날수도 있습니다.

    억지로 하는 공부라던지 자신의 집중할수있는것 이상으로 시간을 할애한다던지 하면 아이는 자연스럽게 집중이 떨어지기마련입니다

    이럴때는 가능하면 학습의 방법을 바꾸는것도 좋습니다.

    아이가 흥미를 느끼고 좋아할만한 것들과 접목하여 공부를 가르친다면 아이에게도 집중하는데 도움이될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아직은 한글에 관심이 없는 것 같습니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스티커 북이나 장난감으로된 한글 교구를 이용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에게 무조건 안돼! 보다는 아이를 감정적으로 소통할 필요가 있습니다

    집중을 못하는 행동을 한다면 왜 그런행동을 하는지를 살피실 필요가 있고 해당되는 이유가 있다면 그 이유를 해결하기위해 도와줄 필요도 있습니다

    무조건 오냐오냐 하는 것도 안좋다만 무조건 혼내는 것도 좋지 않기때문에 아이와의 소통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매사 활발하고 계속해서 움직이고 재미를 찾아 다는 아이들을 보면 지극히 정상이지만 같이 있는 엄마는 다소 괴롭고 치우기 바쁘지요

    집중력이 높은 아이와 낮은 아이의 가장 큰 차이는 같은 일을 한 다음 점검을 하느냐 그렇지 않느냐 입니다

    이 시기엔 주위 분들의 칭찬과 격려가 필요합니다

    모든 과정이 끝난 후 꼭 해야 할 것이 칭찬이에요.

    ‘잘했어. ㅇㅇ가 예쁘게 앉아 있으니 참 보기 좋구나’

    ‘힘들었을 텐데, 짜증 부리지 않고 잘 끝내서 정말 대견해',

    맛있는거 해줄까?’

    ‘와! 벌써 다했어? 집중해서 아주 잘했구나!’ 등 같은 말로 칭찬과 격려를 해줘야 아이의 집중력이 향상됩니다.

    그리고 아이가 공부하는 자리를 뜨지 않을 때 충분히 칭찬해주셔야 합니다.

    힘들텐데 바르게 앉아 있구나!

    책상 앞에 앉아 있을 때마다 격려를 해주세요

    잘했어! 우리아이 최고야!

    아이가 책상 앞에 앉아서 집중하고 있는 자체 만이라도, 지금 한 행동이 아주 바람직하다는 것을 느끼게 해줘야 합니다.

    비언어적 표현인 따뜻한 눈빛, 활짝 웃어주기, 안아주기 등을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