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의 분류는 어떻게 분류할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식물은 보통 잘 발달된 조직을 가지고 햇빛을 이용하여 양분을 합성할 수 잇는 다세포 생물을 말하던데요~ 그럼 우리 주변에 쉽게 볼수 있는 여러가지 식물의 특징을 기준으로 식물을 분류하는데 어떻게 분류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식물을 크게 포자식물과 종자식물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포자식물의 포자란 무성적인 생식세포로 보통 홀씨라고도 하는데 다른 것과 합체하는 일 없이 단독으로 발아하여 새 개체가 됩니다. 종자식물은 종자를 만들어 번식하는 육상식물이며, 종자는 성숙한 개체로 발달할 수 있는 배(embryo)와 발아할 때 필요한 영양조직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을 감싼 종피(씨껍질)로 구성됩니다. 포자식물에는 양치식물(고사리류, 석송류) / 이끼식물(선태식물류, 각태식물류) / 담수조가 있으며, 다음으로 종자식물로는 다시 속씨식물과 겉씨식물로 나뉩니다. 속씨식물에는 쌍떡잎식물과 외떡잎식물이 있습니다. 겉씨식물에는 구과류, 소철류, 은행나무류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1. 종류에 따른 분류:
- 자생식물: 자연에서 자생하는 식물
- 재배식물: 인간이 기르거나 재배하는 식물
2. 생식 방법에 따른 분류:
-종자식물: 씨앗으로 번식하는 식물
- 포자식물: 포자로 번식하는 식물
3. 구조에 따른 분류:
- 관다발식물: 물과 영양분을 전달하는 관다발이 있는 식물
- 비관다발식물: 관다발이 없는 식물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형태적 분류는 식물의 외형과 구조를 기준으로 나누는 방법입니다
분류학적 분류는 식물의 유전적 관계를 바탕으로 과, 속, 종으로 나누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장미과에 속하는 식물들은 공통의 유전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식물의 진화적 관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환경적 분류는 식물이 자생하는 환경에 따라 수생식물, 육상식물, 사막식물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분류는 식물이 특정 환경에서 어떻게 적응하고 생존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식물을 분류하는 방법은 상당히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형태적인 특징과 유전적인 관계를 기준으로 나눕니다.
형태적인 특징을 기준으로 한 분류로는 꽃의 구조나 줄기의 형태, 잎이나 열매의 형태 등으로 나울 수 있습니다.
꽃의 구조는 꽃잎의 개수, 암술과 수술의 배열 등 꽃의 구조를 기준으로 분류합니다. 예를 들어, 쌍떡잎식물과 외떡잎식물은 떡잎의 수와 잎맥의 배열 등이 다릅니다. 줄기의 형태는 나무, 풀, 덩굴식물 등 줄기의 형태에 따라 분류하며, 잎의 생김새는 잎의 모양, 가장자리, 잎맥 등 잎의 특징을 기준으로 분류합니다. 또 열매의 형태는 씨앗을 둘러싸고 있는 과육의 유무, 씨앗의 수 등 열매의 형태에 따라 분류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유전적인 관계를 기준으로 한 분류도 있습니다.
특히 DNA 분석을 통해 식물의 DNA 염기 서열을 비교하여 유전적인 유연관계를 분석하고 분류하기도 하고, 분자 마커를 통해 특정 유전자를 이용하여 식물 간의 유연관계를 분석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식물을 분류하는 단계는 계급 체계를 따르며 일반적으로 계 문 강 목 과 속 종의 순서로 분류합니다.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장미를 예로 들면계는 식물계에 문은 속씨식물문, 강은 쌍떡잎식물강, 목은 장미목, 과는 장미과, 속은 장미속, 종 장미에 속하는 식물이죠.
안녕하세요. 박온 전문가입니다.
식물은 비관속식물(이끼류)과 관속식물(양치식물, 겉씨식물, 속씨식물)로 분류됩니다. 관속식물은 물과 양분을 운반하는 관다발 조직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식물은 크게 선태식물, 양치식물, 나자식물, 피자식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선태식물은 이끼류처럼 뿌리, 줄기, 잎이 제대로 발달하지 않은 식물로, 물을 통해 번식합니다. 양치식물은 고사리류처럼 관다발 조직이 발달하였지만, 꽃과 씨앗이 없는 특징이 있습니다. 나자식물은 소나무처럼 씨가 겉에 노출된 상태로 자라며, 피자식물은 꽃과 열매를 통해 번식하는 가장 발전된 형태로,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대부분의 식물이 여기에 속합니다. 이러한 분류는 식물의 구조, 생식 방법, 조직의 발달 정도에 따라 이루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