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별 1금융권, 2금융권 차이가 어떻게 나누나요??
은행별로 1금융권,2금융권,3금융권 이런식으로 나눠져 있는데 이걸 나누는 기준이 궁금합니다.
1금융권은 뭔가 예전부터 영업점이 있는 KB나 하나 기업 은행 이런종류인걸로 알고있는데 케이뱅크나 카카오뱅크등은 어떻게 1금융권으로 속해있는건가요?
1금융권과 2금융권 그리고 3금융권을 분류하는 방법은 해당 금융권이 어떠한 법을 적용받는지에 따라서 달라지게 되요
1금융권의 경우에는 '은행법'의 적용을 받는 금융기관으로 쉽게 생각하면 '외환'의 기능이 있다면 1금융권으로 보셔도 되세요. 그리고 2금융권의 경우에는 '여신전문법'의 적용을 받는 곳이며, 3금융권의 경우에는 '대부업'의 적용을 받는 곳이에요
1금융권은 전통적인 은행과 인터넷 은행처럼 주로 예금과 대출을 다룹니다. 2금융권은 보험사, 저축은행, 카드사와 같은 회사들로 예금보다는 대출이 많고 금리가 높습니다. 또한 케이뱅크나 카카오뱅크와 같은 인터넷 은행은 예금과 대출을 다루기에 1금융권에 속하게 됩니다.
1금융권은 말 그대로 시중은행, 특수은행 및 인터넷은행이 포함됩니다.
따라서 케이뱅크, 카카오뱅크도 1금융권이라 생각하시면 되고 2금융권은 은행을 제외한 제도권 내의 금융업을 영위하는 기관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아래의 글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금융권과 같은 경우 은행법의 적용을 받는 금융기관, 2금융권은 은행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 금융기관을 말하며, 3금융권은 보통 대부업체 등을 말하니 참고하세요.
1금융권은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안정적이고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반면, 2금융권은 특정 고객층이나 특화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와 위험을 특징으로 합니다 우리가 흔히보는 시중은행이 1금융, 보험,신협 축협 수협등 협동조합이나 특정 고객층이 있는 것이 2금융입니다
제1금융권은 특수은행, 일반은행, 지방은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예금과 대출 등의 금융 거래를 담당합니다.
제2금융권은 은행을 제외한 금융기관으로 보험회사, 증권회사, 저축은행, 새마을금고, 신협 등이 포함되며, 주로 서민이나 중소기업의 금융을 지원합니다.
제3금융권은 제도권 밖의 사금융을 말하며, 대출금리가 매우 높고 불법적인 행위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케이뱅크와 카카오뱅크는 인터넷 전문은행으로 제1금융권에 속하며, 오프라인 점포 없이 온라인으로만 영업을 하는 은행으로 기존의 은행과 동일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안녕하세요
1,2금융권 분류는 공식적인 분류는 아닙니다
금융소비자의 편의상 분류를 해놓은 것이기 때문에 인터넷뱅크는 규모면에서 1금융권에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다.
시중은행과 인터넷은행을 제외한 곳은 대부분 2금융권으로 분류를 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금융권과 2금융권 차이는 여신 수신업무를 하는 은행이나 아니냐 차이고 1금융권은 은행법을 따르는 걸로 알고 있습니당 그래서 보통 시중은행들을 1금융권이라 하고 그외 보험사 카드사 캐피탈사등 제도권안에 금융회사는 2금융권이라 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1금융권은 국내 최대 은행들로서 자산규모가 크고 다양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들을 가리킵니다. 2금융권은 중소형 은행들로서 자산규모가 1금융권에 비해 작지만 광범위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들을 말합니다. 3금융권은 소형 은행들로서 자산규모가 작고 주로 특정 지역 또는 분야에 특화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들을 지칭합니다.
안녕하세요.
우리나라 은행법이라는 기준에 속하면 은행이고 아니면 은행이 아닙니다. 편의상 여기에 은행에 속하는 은행들을 1금융권, 그렇지 않은 금융기관들을 2금융권이라고 부르고 시작했고 이게 굳어진 것이라 보면 됩니다.
은행은 예금을 받거나 유가증권 또는 그 밖의 채무증서를 발행하여 불특정 다수인으로부터 채무를 부담함으로써 조달한 자금을 대출하는 것을 업(業)으로 하는기관을 말하는데,
우체국도 예금은 있지만 다른 본업이 있고, 보험사, 증권사도 예금 받고 대출해주는 게 본업은 아닙니다. 그래서 은행이 아닌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1금융권과 2금융권을 나누는 기준은 바로 은행법의 적용 여부 입니다
은행법은 금융 기관의 신용 공여 업무, 즉 대출과 관련된 규정을 담고 있으며 자기자본 유지, 유동성 유지 등의 요건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법은 금융기관이 고객의 예금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안정적인 금융 시스템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금융권은 이 은행법의 적용을 받으며, 국민, 신한, 우리, 하나 은행 등이 있습니다.
2금융권은 은행법의 적용을 받지 않으며 대표적으로 증권사, 보험사, 카드사, 캐피탈사, 저축은행 등 있습니다.
카카오뱅크는 인터넷 전문 은행으로 2017년부터 시작했고, 은행법에 따른 인가를 받았기 때문에 1금융권에 속합니다.
금융권은 한국의 금융 시스템을 이루는 주요 부분으로, 은행법에 따라 설립된 다양한 종류의 은행으로 구성됩니다. 이는 일반은행과 특수은행, 지방은행, 그리고 외국계 은행 등으로 구분됩니다. 예를 들어, 국민, 신한, 우리, 하나 등이 일반은행에 속하며, IBK기업, 한국산업, 농협, 수협 등은 특수은행으로 분류됩니다. 또한, 지방은행으로는 DGB대구, BNK부산, 광주, 제주, 전북, BNK경남은행이 있습니다. 외국계 은행으로는 한국스탠다드차타드, 한국씨티은행 등이 있습니다.
금융권은 은행 외에도 다양한 금융기관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들은 주로 자금의 중개를 주요 역할로 하며, 비통화금융기관으로 분류됩니다. 보험회사, 신탁회사, 증권회사, 종합금융회사, 여신금융회사(카드회사, 캐피탈 등), 그리고 상호저축은행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질문해 주신 은행별 제 일 금융권 제이 금융권 등에 대한 내용입니다.
우리나라에는 은행을 주재하는 법들이 있습니다이 은행법에 해당되는 은행들을 제 일 금융권이라고 하고 언급해 주신 인터넷 은행들 모두 제 일 금융권에 해당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