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비범한앵무새123
비범한앵무새123

높이올라갈수록 더울까요 ..?

태양 방향으로 쭈욱 올라간다하면은 온도가 올라가나요? 제가알기론 올라갈수록 온도가낮다고알고있는데요.어떤게 맞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검붉은코뿔소 34
      검붉은코뿔소 34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과 아주 밀접하게 있는 고도가 아니라면 실제로 지구 내에서는 온도가 더 내려가게 됩니다.

      이는 고도가 높아질수록 태양열을 받을 공기의 양이 줄어들고 또한 지표면에서 복사되는 복사열의 영향이 적어지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영욱 과학전문가입니다.

      높이라는 것의 기중 애매합니다만 보통 일상생활에서 높이 올라가는 거면 추워지는 것 맞습니다. 하지맘 태양에 가까이 가면 당연히 뜨겁다 못하 못견딜 정도로 뜨거울 겁니다

    •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

      지표면과 가까울수록 온도가 올라가고 지표면과 멀어질수록 온도가 낮은데요. 말씀하신 높은 곳일수록 온도는 낮아지게 됩니다.

      보통 높은 곳일수록 태양과 가까우니 온도가 높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은데요. 우리 태양으로부터 태양에너지가 지표면으로부터 흡수가 되고 흡수된 에너지가 복사되면서 복사에너지가 방출되는데요. 이때 지표면과 멀이질수록 에너지를 잃게 되기 때문에 높은 곳일수록 온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높이 올라갈수록 더워지지 않습니다. 지구의 대기권은 밀도가 낮은 고도일수록 온도가 낮아지는 대류권, 밀도는 높지만 온도는 일정한 중간권, 밀도가 낮지만 온도가 높은 열권, 밀도는 매우 낮지만 온도가 매우 높은 코로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지구의 대기권에서 온도가 내려가는 이유는 공기의 밀도가 낮아질수록 공기 분자 간의 충돌이 줄어들어 열이 전달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각각의 대기권 대기 온도에 영향을 주는 열원이 다르기 때문에 대류권과 성층권은 다른 온도분포를 보입니다.

      우선 대류권에서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온도가 낮아지는데요, 그 이유는 지구 복사열 때문입니다. 대기는 태양에너지를 직접 열원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복사열로 대워지는데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복사열을 적게 받기 때문에 온도가 낮아지는 것입니다.

      하지만 성층권에서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온도가 높아지는데, 이유는 오존층과 자외선 때문입니다. 오존층은 자외선의 에너지를 받아 산소분자와 산소원자로 쪼개지고 다시 합쳐지고를 반복하는 과정에 자외선 에너지를 흡수하고, 이 에너지는 열에너지로 방출되기 때문에 자외선이 강한 높은 고도일 수록 온도가 높은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에서 우주로 올라갈수록, 처음에는 온도가 낮아집니다. 이는 대기권의 높이가 올라갈수록 대기 밀도가 줄어들고, 따라서 열을 유지하는 능력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올라갈수록 추워진다'는 일반적인 원칙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우주선이 지구를 벗어나 태양에 가까워질 경우, 상황은 달라집니다. 태양으로부터 받는 복사 에너지의 양이 증가하므로, 외부 표면의 온도는 실제로 상승합니다.

      따라서 직접적으로 태양에 가까워지면 그 결과물은 극단적인 열입니다. 예를 들어, 수성(태양계에서 가장 태양에 가까운 행성)의 표면 온도는 낮 동안 430도 Celsius(806도 Fahrenheit)에 이릅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올라갈수록 추워진다"와 "태양 방향으로 갈수록 더워진다" 모두 사실입니다 - 그것은 단순히 상황과 관점에 따라 다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지구에서는 올라갈수록 온도가 낮아집니다. 이는 공기가 팽창하면서 온도가 낮아지는 원리 때문입니다. 공기는 지표면에서 가열되면 팽창하면서 밀도가 낮아지고, 밀도가 낮은 공기는 위쪽으로 올라가게 됩니다. 위쪽으로 올라갈수록 공기의 밀도가 낮아지고, 공기의 밀도가 낮아지면 온도가 낮아집니다.

      그러나 태양 방향으로 올라간다면 온도가 올라갑니다. 이는 태양의 표면 온도가 약 5,800℃이기 때문입니다. 태양의 표면에서 태양의 대기인 코로나까지 올라갈수록 온도는 점점 높아집니다. 코로나의 온도는 약 100만℃에 달합니다.

      따라서 태양 방향으로 올라간다면 지구에서는 온도가 낮아지지만, 태양에서는 온도가 올라갑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