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맥 해열주사는 반감기가 어떻게 되나요?
16세 중학생입니다
약간의 미열로 12일 토요일 해열소염진통제 (부르펜 계열)를 정맥주사로 링겔과 함께 맞았습니다
제가 4일 후인 16일 코로나 백신 1차 접종이 있습니다
체내에 해열정맥주사 성분이 다 빠져나갔는지 궁금합니다
즉 해열주사 반감기는 어떻게 되나요
그리고 이때 먹은 약은
항생제, 타이레놀 이알, 덱시폔정등도 복용하였습니다
약은 주사맞기 3일전까지 복용하였습니다
약 성분도 체내에 남아 있을까요
아니면 반감기 다 지났을까요
약 및 해열정맥주사가 몸에 남아 추후 접종 후 부작용이 염려 스럽습니다
그리고 부정출혈 부작용이 많턴데
생리중 백신 맞아도 되나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주사제 아세트아미노펜 주의 경우, 주사 후 15분 후부터 증상이 호전되는 모습을 보이며 이는 6시간 동안
효과가 지속될 수 있으나 24시간 후에는 체내에서 효과가 사라지며 48시간 후에는 대부분 신장을 통해
배출되거나 대사됩니다. 코로나 백신 후 생리 주기가 길어지는 경우가 있으나 원인은 명확하지는 않으며
스트레스에 의한 호르몬 변하가 주 원인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생리 중 백신 접종이 문제가 되지는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일반적으로 해당 약물들은 8시간가량 효과가 있다고 생각되고 투여 이후 3-4시간 이후 최대 농도에 도달하며 이후 8시간 가량이 지나면 약물이 대사됩니다. 반감기는 지났을 것이고 24시간이 지나면 대부분의 약물이 간과 신장으로 대사되어 배출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반감기는 부르펜 계열이라고 하더라도 정확한 약물의 성분에 따라 다릅니다.
하지만 체내에 약물이 남아 있더라도 접종 후 큰 영향이 없으니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1. 구체적인 성분이 아니라 부르펜 계열이라고 말씀하셔서 정확한 반감기는 알 수 없습니다. 하지만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는 수 일간 지속될 정도로 효과가 오래 가지 않기 때문에 백신 접종에 아무런 영향이 없을 것입니다.
2. 생리와 백신 접종 간에는 특별한 상관관계가 없습니다. 즉, 생리 기간이라고 하여 백신 접종으로 인해 효과가 떨어진다거나 부작용에 더 취약하거나 한 것은 아닙니다.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접종 받으셔도 무방하겠습니다. 다만 백신 접종 이후에 생리 불순 등의 부작용이 인과성은 확실하게 인정 받지는 못 했으나 종종 호소하는 경우가 있기에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주사제 해열제나 먹는 약은 모두 반감기가 짧습니다. 길어봐야 8~12시간이면 효과가 없어집니다. 지금은 아무런 약효가 없다고 봐야하지요. 걱정하지 말고 접종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반감기는 해당 약물의 특성에 따라 다릅니다.
해열제가 일괄적으로 몇시간이다. 이렇게 정해지진 않았습니다.
보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 가까운 의원 혹은 병원 내원하셔서 전문의의 문진, 신체진찰 및 추가 영상학적 정밀검사를 해보시길 권유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