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한국의 경제에 대해 전망을 여쭙니다.

미국의 소프트 랜딩, 중국의 성장 둔화 등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 상황입니다. 그렇지 않아도 2020년부터 현재까지 재정 지출이 많고 내수는 극도로 침체되어 자영업자들의 대규모 줄폐업이 이어지며, 미국과 중국, 두 국가로의 수출에 대한 경제 의존도가 매우 높은 한국의 경제는 이제 더 이상 침체가 아닌 위기의 국면으로 접어들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닌데요.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와 개인의 초점에 맞춰 과연 어떻게 해야 살아남을 수 있을지 그야말로 생존을 위한 대응 방법에 대해 의견 여쭙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인태성 경제전문가
    인태성 경제전문가
    대종빌딩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한국의 경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한국의 현재 경제는 내수 경제가 둔화를 넘어 망하는 지경에 이르고 있습니다.

    그리고 삼성전자 역시도 기술력이 떨어지면서 무너지고 있기에

    당분간은 어려울 것으로 보여집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정부는 새로운 인재 발굴을 위해 교육 방식을 바꿔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지금까지의 넓고 얇은 학습을 하기보다는, 몇 과목에 깊은 학습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됩니다.

    4차 산업혁명, AI 등 과학 기술의 발전은 인간의 삶을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여기에 수학, 과학의 중요성은 백 번 말해도 모자랄 지경입니다.

    정부는 어렸을 때부터 수학과 과학을 체계적으로 교육시켜야 합니다.

    원리를 이해하고 사고력을 키울 수 있는 직접 어떻게 실생활에 쓰이는지를 가르쳐야 합니다.

    당장은 과학에 많은 예산을 편성하여 투자해야 합니다.

    우리나라는 수출로 먹고 사는 나라이기에, 기술 연구 개발을 끊임없이 해야 합니다.

    또한 기초과학 지원을 확대하여, 응용과학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혁신을 만들어야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우리나라가 현재 어려운 상황이긴 합니다.

    인구도 줄어들고 더불어서 여러 산업에 있어서도

    중국 등의 추격도 있고 미중 사이에서 상당히 어려운 상황입니다.

    우리나라 자제적인 기업들이 경쟁력 강화와 정부의 지원 등이

    필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경제는 현재 미국과 중국 경제 상황에 크게 의존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 경기 연착륙과 중국 성장 둔화가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이 외부 요인과 함께 내수 침체, 가계부채 문제, 자영업자 폐업 증가 등으로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해 있습니다.

    정부는 수출 확대와 내수 진작,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시행 중입니다. 개인들은 재정 관리와 미래 대비를 강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중장기적으로는 신흥 기술 및 산업에 투자와 자산 관리 전략이 필요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사실 누구나 다 아는 내용이죠 대기업이 수출하는 양이 다른 어떤 생존 전략을 짜낸다고 해도 이겨낼 방법이 없습니다 그만큼 뿌리가 깊고 또한 정경유착도 상당하죠 우리나라 스포츠 스타라던가 k팝스타들이 많은 성장을 하고 있고 또 우리나라를 알려 주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지방이 붕괴되고 있지요 서울과 각 지방들을 편하게 다닐 수 있는 모노레일이라든가 ktx가 연장되면서 관광객 유치에 좀 더 힘을 썼으면 좋겠습니다 실제로 외국에서 친구가 오면 갈 때가 별로 없습니다 다니기도 불편해요 서울에서 서해바다라던가 동해 바다 남해 바다 그리고 각종 유명한 산새들 다 내기도 힘들고 가면은 바가지에 두 번 다시 가고 싶지 않은 경우도 있고 특히 제주도에서도 그런 것을 느꼈습니다 편의점에서 라면에 김밥이 가장 맛있더군요 싸고 자영업자들도 반성할 부분은 있습니다 특히 식당 운영하시는 할머니들


  • 특정 산업이나 현재 단기간의 경제를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조금 더 장기적으로 본다면 우리나라의 위기는 중국과의 문제에 달려 있습니다. 최근 20년 정도를 우리나라가 꽤 괜찮게 성장을 해왔던 것은 중국이 압도적으로 성장을 하면서 그 과정에서 우리나라 기업들이 중국에 수출을 많이 했기 때문에 우리나라 경제가 좋았는데 이 부분을 중국이 자체적으로 해결하면서 우리나라 기업들이 수출할 곳을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 부분을 중국이 아닌 다른 나라에 새롭게 시장을 열거나 수출을 늘리는 방식을 통해서 해결하지 못하면 작은 매수 시장만 바라보는 위축되는 경제가 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한국 경제가 위기의 국면에 접어든 상황에서 정부는 재정 지출을 조절하고 내수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강화해야 합니다.

    소비를 줄이고, 자산을 다각화하며,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자영업자들은 온라인 판매나 서비스 다변화를 통해 시장 변화를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정부의 지원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위기 극복에 나서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