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단정한낙지284
단정한낙지284

물체가 보이는것보다 가까이 있다는건 과학적으로 어떤 이유가 있나요?

가끔 거울을 보거나 자동차 유리를 볼때 물체가 보이는것보다 가까이 있다는 문구가 있는데요.

이런 현상이 있는 이유가 시력으로 보이는 것과 뇌의 작용이 달라서인가요? 어떤 과학적인 원리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검붉은코뿔소 34
    검붉은코뿔소 34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는 광각 거울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유는 사이드 미러의 사이즈가 크지 않기 때문에 해당 영역 대비 더 많은 시야를 확보하기 위함입니다.

    광각 거울을 사용한 경우 시야가 넓어지는 대신 거리감을 왜곡시키기 때문에 실제보다 거리감이 있게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뇌가 착각하거나 하는 경우가 아니라 거울의 종류 차이 입니다.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는 운전자의 시야를 넓히기 위해 볼록 거울이 붙어있습니다.

    따라서 사물이 커보이며 실제 위치보다 가까워 보입니다.

    백미러는 평면 거울이 부착되어있어 그런 문구가 없죠.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거울이나 유리와 같은 투명한 물체를 보면 가끔 물체가 실제로 있는 위치보다 가깝게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굴절의 법칙에 의한 것입니다. 굴절의 법칙은 빛이 다른 매질로 옮겨갈 때, 속도와 방향이 변하게 되는데, 이때 빛의 이동 경로가 굴절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거울을 보면 거울 내부에서 반사된 빛이 우리 눈으로 들어와 굴절되게 됩니다. 이때 빛이 굴절되면서 물체의 위치가 실제보다 더 가깝게 보이는 것입니다. 이는 뇌에서 시각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뇌에서는 시각 정보를 처리하면서 빛의 굴절에 대한 보정을 하면서 물체의 위치를 파악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이 얇은 물체를 통과할 때 빛의 파동이 간섭하여 서로 상쇄되는 구간이 생깁니다. 이로 인해 빛의 파동이 통과하지 못하는 부분이 생기고, 따라서 그 부분은 어두워 보입니다. 이는 보다 가까이 있는 물체에 비해 먼 거리에 있는 물체가 더 어두워 보이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즉, "물체가 보이는 것보다 가까이 있다"는 말은 빛의 간섭 현상으로 인해 관찰자가 어두워 보이는 영역에 위치한 물체가 더 가깝게 느껴진다는 의미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그렇지는 않습니다.

    차량용 사이드 미러에 사용되는 거울이 광각형 거울이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차량의 사이드 미러에 광각 거울을 사용하는 이유는 운전자의 시각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기 위함입니다.

    광각형 거울의 장점이라면 작은 크기에도 넓은 공간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때문에 우리 눈에 보이는 것과는 거리감이 다르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자동차의 사이드미러에 달려있는 거울은 보통 볼록거울을 많이 사용하는데, 볼록거울은 멀고 넓은곳의 모습까지 한 거울안에 담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해당 작용에의해 상이 왜곡되고 실제 가까이 있는 물체도 멀리있는것처럼 보이게만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