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앵그리버드
앵그리버드

아니 우리나라는 왜 금리는 내린건가요?

아니 우리나라는 왜 금리는 내린건가요?

내수 진작한다고 금리를 내렸던데. 그래서 미국 금리를 보니 4.5% 한국 금리 2.75%

뭐하자는걸까요?

왜 국장이 폭락했나 했더니 저리 금리 차가 나면서 반작용으로 폭락했다고 하니. . .

이거 내수 진작이 아니라 부동산 가격 내려가니 부동산 가격 방어하려 내린게 아닐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가 변동된다는 거에 대해서 각자의 처지에 따라 반응이 달라지게 됩니다 저는 부동산도 있고 대출도 있고 대출 때문에 곤란한 경우도 있습니다 말씀처럼 부동산 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금리를 내렸다고 본다면 부동산이 있는 사람은 좋은 거고 없는 사람은 사게 될 거고 거래대금은 세금으로 들어가겠지요 금리를 올려서 환율 차를 줄인다고 해도 출 자체가 그렇게까지 좋지도 않고요 지금은 특히나 의도는 모르겠지만 가계 부채와 자영업자가 어려우니까 그런 쪽으로 발표를 하겠지요 제 입장에서도 그게 낫다고 보고 저도 지금 집 팔려고 다 내놨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기준금리가 미국 금리 보다 낮아진지는 꽤 오래 됐는데요. 코로나19 이후 위기를 맞은 내수경기 활성화를 위한 것이었지만 지금은 오히려 내수경기가 더욱 악화되어 있습니다. 이번에 금리를 내린 이유도 내수경기 활성화라고 하지만 결과적으로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가 기준금리를 영 2.75%로 낮췄습니다. 환율이 상당히 고공행진을 하는 와중에도 인하를 했습니다.

    이는 환율 안정보다 국내 내수 시장 살리기와 목표이기 때문입니다. 현재 우리나라 내수 경제는 상당히 안좋은 상황이며 회복세가 보이지 않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금리 인하를 통해 시중에 자금 유동성을 공급해 민간 소비나 투자, 내수 살리기를 하려는 경향이 뚜렷합니다.

    이를 위해 금리인하를 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한국은 경기침체 가능성이 매우 높은 상황입니다. 작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경기 침체로 금리인하를 조기 시행했어야 하는데 환율상승과 물가 상승으로 지연되었습니다.

    올해 환율과 물가 상승이 잠잠해지자 금리 인하를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가 금리를 내린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바로 국내의 내수 경제 상황이 너무도 나빴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금리를 내리게 된 것으로 보여집니다.

    다만, 그렇게 해서 환율이 뛰는 것을 보게 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 현재

    기업들의 상황이 상당히 좋지 못하고

    더불어서 내수경기가 최악이며

    자영업자들이 어렵기에 금리를

    내리려고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안상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제는 매우 침체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이런 침체된 경제를 활성화 시키기 위해서 금리를 내린 가능성이 높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우리나라는 과거부터 증시에는 큰 관심이 없지만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는 것은 참을 수 없습니다

    • 따라서 기준금리 인하와 동시에 미분양 아파트를 세금으로 매입하여 가격을 보전해주고 있습니다

    • 경제학자들이 경제논리로 부동산의 고점을 예상하지만 여전히 상승하는 것에는 이러한 이유가 존재한

      것입니다.

    • 표면적인 이유로는 금리를 내려서 내수를 살리기 위함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