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예금·적금

새침한카구54
새침한카구54

2억 정도 안전하게 투자할 만한 상품있나요?

2억 정도를 6개월에서 1년 정도 단기 투자할 만한 곳이 있나요?

리스크가 없었으면 해서 현재 예금 적금 코인 USDT 예치 정도를 생각중인데

적금은 너무 이자가 적고....예금도 4% 넘기기가 쉽지 않네요...(5천 이하까지는 찾기는 했습니다)

코인 USDT 예치하면 7% 정도는 나올거 같은데....달러가 현재 기준에서 급락 하지는 않겠쬬?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안전하게 투자하고 싶으시다면 국채와 같은 곳에 투자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 채권은 상대적으로 투자자산 중에 매우 안전한 상품에 속하면서 기업채권이 아닌

      국가의 채권은 더욱 안전하기 때문에 2억을 안전하게 투자할만한 곳은 국채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단기적인 수익률과 리스크가 없으면 하시는 목적으로는 예금이 가장 적합해 보입니다.

    코인 USDT예치도 이자율은 7%이지만 실제 코인의 가격이 떨어질 위험도가 더 높아 원금이 보장 안됩니다.(기준금리 인하시기에 맞춰 달러 가치는 더 하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7% 이자를 위험하게 모험하는 것보다는 4%이자를 원금 손실 없이 지켜내시는 게 더 합리적이라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2억원 정도 안전하게 투자할 수 있는 상품에 대한 내용입니다.

    저라면 그래도 안전하게 투자하시려면 예금을 이용하겠습니다.

    경기 침체가 언급되고 있는 시점이기에

    코인도, 주식도 위험해 보이고

    예금이 기대 수익률은 낮더라도 3-4퍼센트면 그래도 나쁘지 않은 수준입니다.

  • 안녕하세요.

    USDT가 달러와 1대1 매칭되는 금액이기 때문에 안전한 코인이긴 하지만 달러가 어떻게 될지 모르니 이부분도 약간 리스크가 있어 보이긴 합니다.

    여러가지 자료를 찾아보니 일반적으로 국내상장 미국 채권 ETF에 투자하거나 채권혼합형 ETF를 투자한다는 분들도 많으시네요.

    아무쪼록 많은 전문가들의 의견 참고하셔서 좋은 성과 있으시길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태현 경제전문가입니다.

    2억 원 정도의 금액을 6개월에서 1년 정도의 단기 투자로 안전하게 운용하고 싶으신 것 같아요. 여러 가지 옵션을 고려하고 계신데, 각 옵션의 장단점을 하나씩 짚어보면서 최적의 선택을 찾도록 도와드릴게요.

    먼저, 예금과 적금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예금과 적금은 일반적으로 가장 안전한 투자 방법 중 하나로 꼽힙니다. 원금이 보장되고, 이자율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예측 가능한 수익을 얻을 수 있어요. 하지만, 최근 금리가 높지 않아서 이자율이 4%를 넘기기는 쉽지 않습니다. 특히, 예금은 만기 이전에 해지하면 이자 혜택이 줄어들 수 있기 때문에, 투자 기간을 정확하게 맞출 필요가 있습니다. 현재 2억 원을 예금에 투자했을 때 기대할 수 있는 수익이 크지 않다는 점에서 조금 아쉬움이 있을 수 있어요.

    다음으로, 코인 USDT 예치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USDT는 미국 달러와 연동된 스테이블코인으로, 암호화폐 시장의 변동성에서 비교적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USDT 예치를 통해 7% 정도의 이자를 얻을 수 있는 상품들이 존재하지만, 여기에는 몇 가지 리스크가 따릅니다.

    첫째, USDT를 예치할 때 해당 플랫폼의 안정성에 대한 리스크가 있습니다. 암호화폐 거래소나 예치 플랫폼의 신뢰성과 보안이 확보되어 있지 않으면, 해킹이나 자산 동결과 같은 위험에 노출될 수 있어요. 둘째, USDT 자체가 미국 달러에 연동되어 있다고는 하지만, 암호화폐의 특성상 규제 변화나 플랫폼의 문제로 인해 유동성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습니다. 셋째, 암호화폐는 전반적으로 아직 규제나 법적 보호가 명확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갑작스러운 상황 변화에 대비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할 때, 코인 예치 상품은 상대적으로 높은 이자를 제공하지만, 전통적인 예금에 비해 높은 리스크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대체 투자 머니마으로는 머니마켓펀드(MMF)나 채권형 펀드 등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머니마켓펀드는 단기 금융 상품에 투자하여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하며, 대개 예금과 비슷한 수준의 리스크를 가집니다. 채권형 펀드는 정부나 기업의 채권에 투자하여 이자 수익을 얻는 상품으로, 비교적 안전한 편이지만 채권의 가격 변동이나 금리 변화에 따라 수익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만약 금리가 현재 수준에서 유지되거나 상승한다면, 채권 가격이 하락할 위험이 있으니, 단기 채권이나 변동성 낮은 채권형 펀드를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요약하자면, 예금과 적금은 가장 안전한 선택이지만 수익률이 낮고, USDT 예치는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지만 리스크가 있습니다. 대체 상품으로는 머니마켓펀드나 채권형 펀드가 적합할 수 있습니다. 안전한 투자를 원하신다면, 예금이나 안정적인 채권 상품에 투자하면서 소액을 다양한 투자 상품에 분산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수 있어요.

    혹시 더 궁금한 점이나 추가적인 조언이 필요하시면 언제든지 말씀해 주세요. 최선을 다해 도와드리겠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달러가 현재 기준에서 급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요즘 달러 약세인 이유가 다음 달 미국 기준금리가 인하가 확정된 상황이라 선반영해서 약달러로 간 상황인데요

    지금 기준금리 인하 컨센서스가 25비피가 70프로 50비피 인하가 30프로 정도 인 상태입니다

    25비피인하가 아닌 혹시라도 50비피 인하하면 원달러가 확 밀리겠죠

    안전하게 가시려면 테더 예치는 제외하는게 어떨가 싶습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은행의 정기예금은 안전하지만 이자율이 낮습니다. 최근에는 일부 은행에서 4% 이상의 금리를 제공하는 상품도 있으니, 여러 은행을 비교해보세요. 또 정부나 공공기관이 발행하는 단기채권은 상대적으로 안전하며, 이자율이 예금보다 높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2억 원을 6개월에서 1년 정도 단기 투자하는 경우, 안전성과 수익성을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현재 시장 상황에서 예금과 적금의 금리가 낮은 편이지만, 리스크를 최소화하려면 이들이 여전히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4% 이상의 예금 상품을 찾기 어렵다고 하셨지만, 일부 은행에서는 특판 상품이나 우대 금리를 통해 5% 가까운 금리를 제공하는 경우도 있으니 꼼꼼히 살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USDT 예치를 통한 7% 수익률은 매력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암호화폐 시장의 변동성과 규제 리스크를 고려해야 합니다. 달러 가치가 급락할 가능성은 낮아 보이지만, 암호화폐 거래소의 안정성 문제나 규제 변화 등 예상치 못한 리스크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체 자금의 일부만을 이런 고수익 상품에 배정하는 것이 안전할 수 있습니다.

    투자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전체 자금의 60-70%는 안전한 예금이나 적금에 넣고, 20-30%는 국채나 우량 회사채 펀드에 투자하며, 나머지 10-20%를 USDT 예치나 다른 고수익 상품에 배분하는 식으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하면서도 일부 자금으로 더 높은 수익을 노려볼 수 있습니다. 단, 개인의 위험 선호도와 투자 목적에 따라 이 비율은 조정될 수 있으며, 필요하다면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2억 원을 6개월에서 1년 정도 단기 투자할 만한 곳으로 몇 가지 옵션이 있습니다. 예금이나 적금의 이자가 낮은 편이라면, 높은 수익을 기대하는 대신 리스크를 감수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안전한 투자로는 미국 재무부에서 발행하는 단기 국채가 있으며 미국 정부가 보증하므로 위험이 적고 현재 4.5%~5.3% 정도의 이자를 제공합니다. 또한,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브로커드 예금도 5% 이상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지만 자금을 일정 기간 동안 묶어두어야 한다는 점에서 유동성이 낮습니다​.

    USDT와 같은 스테이블코인 예치는 7% 정도의 수익을 제공할 수 있지만 암호화폐 시장 변동성과 관련된 리스크를 고려해야 합니다. 달러의 급락 가능성은 현재로서는 낮지만 경제 상황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