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2학년이 고기만 먹는 편식대마왕입니다. 편식잡는 식단이 있을까요?
초등학교 2학년이 아직까지 고기만 먹는 편식대마왕입니다. 편식잡는 식단이 있을까요? 아무리해도 도저히 편식이 잡히질않네요
아이의 편식을 고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소개한 보도내용을 알려드립니다.
편식은 아이의 발달과정에서 일어나는 정상적인 일이다. 특히 2~5세 아이들은 새로운 음식에 대한 공포인 ‘음식 네오포비아’로 음식을 거부하는 증상이 심하게 나타나기도 한다. 대부분의 아이들이 겪는 과정으로 이런 반응이 사라질 때까지 부모의 이해와 기다림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 시기가 지나도 계속해서 편식을 하는 아이라면 그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 아이 편식 고치는 4가지 방법
① 새로운 음식과 친해지는 시간 가져야 = 새로운 것에 대한 공포심이 강한 아이들에게 새로 맛보는 음식을 바로 먹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새로운 음식을 먹일 때는 식사시간 전에 여러 번 보여주고 재료를 가지고 놀 수 있는 시간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오이나 당근 등 아이가 특별히 싫어하는 재료는 처음에는 냄새만, 그다음에는 맛만, 그다음에는 씹어보는 단계별 과정을 통해 적응시키는 것이 좋다.
② 식사시간은 즐거운 시간이라는 인식 심어줘야 = 편식한다고 혼내거나 한 번에 먹기 힘든 양을 주면 아이는 식사시간에 대한 흥미를 잃는다. 따라서 식사시간은 가족과 함께 맛있는 것을 먹는 즐거운 시간이라는 인식을 심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먹는 재미를 느끼게 해주기 위해서는 직접 요리에 참여시키는 것도 방법이다. 아이와 함께 재료의 색깔, 모양, 맛에 변화를 주면 음식 자체에 대한 흥미가 생기기 때문이다.
③ 부모의 긍정적인 반응은 필수 = 음식을 대하는 부모의 태도는 아이에게도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어떤 음식을 먹이고 싶다면 부모가 먼저 ‘아~맛있다’등의 긍정적인 반응으로 아이에게 호기심을 유발해야 한다. 또한 싫어하는 음식을 먹었을 때 칭찬을 많이 하면 아이가 성취감과 기쁨을 느껴 편식을 고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④ 간식 줄이고 식전에는 공복을 유지해야 = 소화기관과 뱃골의 크기가 작은 아이들은 한 번에 먹을 수 있는 양이 정해져 있다. 따라서 간식은 최소한으로 줄이는 것이 좋다. 식사 전에 찬물이나 음료수를 마시는 것도 삼가야 한다. 또한 입맛을 돋워주는 마사지를 해주는 것도 도움이 된다. 배꼽 주변을 시계방향으로 돌려주면 장을 자극하고 복부를 따뜻하게 해 입맛을 돋워주고 변비를 예방해준다.
그런데 이런 방법으로도 편식이 고쳐지지 않는 아이라면 전문이의 도움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