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창백한 푸른점
창백한 푸른점21.12.27

금리가 주가에 미치는 영향은 어떻게 되나요?

금리인상은 보통 주가에 안좋게 영향을 끼친다고 알고 있습니다. 금리가 높을수록 주가는 떨어지는건가요? 좀더 구체적이고 정확한 금리와 주가와의 상관관계를 알고싶습니다. 금리가 주가에 어떻게 영향을 주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간단하게 몇가지만 설명드리자면

    금리가 주식에 주는영향은

    1. 배당금

    금리가 높아지면 미래에 얻을수 있는 수익이 높아질것을 기대

    금리가 낮아지면 미래에 얻을수 있는 수익이 낮아짐을 의미

    즉, 금리가 낮아지면 은행이자보다 주식에서 받을 배당금이 더 높기 때문에 자금이 주식시장에 유입될 가능성이 높게 됩니다.

    2. 신규자금 유입

    이자가 낮다면 은행예금의 메리트가 떨어지게 되고 그 돈이 주식시장으로 흘러들어오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유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가 높을수록 주식시장에는 안좋은 영향을 미치는게 정설이었지만 요즘 트렌드는 꼭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영향을 주는 이유는 자금의 흐름 때문인데요. 금리가 올라가면 예금과 같은 안전한 상품에도 이자율이 올라가 좋은 투자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주식과 같은 대체 상품들의 매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보았을 때 중앙은행이 일단 금리를 높이기로 했다면 주가가 하락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리나라 한국은행의 금리 인상/인하 정책 뿐 아니라 미국의 중앙은행인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미 연준)가 언제 금리를 올릴지 촉각을 곤두세우는 이유도 그러한 이유입니다.

    이유는 보통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금리는 미래 금액의 현재 가치를 계산할 때 결정적인 변수이다.

    둘째, 금리가 높아진다는 것은 장차 기업이 투자하기 위해 돈을 빌릴 때 자본 비용이 더 많이 든다는 뜻이다.

    셋째, 금리가 오르면 투자자들은 주식을 예전보다 더 위험한 투자로 생각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이는 전체 주식시장의 전반적인 이야기라고 볼 수 있고, 주가는 금리만 가지고 움직일 수는 없으며 해당 회사를 둘러싼 수많은 이슈로 움직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장효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비슷한 제 답변이 있어 본문 내용을 참고하여 옮겨적어 보겠습니다.

    통상 금리인상이 되면 주식가격은 하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왜냐하면 주식시장에 있던 돈이 예금으로 옮겨가기 때문입니다.

    예를들어 제가 주식시장에서 연 10%의 이익을 올릴 실력이 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실제로는 아닙니다...^^)

    이때 예금이자는 5%라고 칩니다.

    그렇다면 저는 예금보다 주식시장에서 더 많은 이익을 얻을수 있으니, 예금을 해약하고 주식시장에 돈을 투자할 것입니다.

    그러나 1년뒤, 금리가 올라 예금이자가 15%가 된다면.

    저는 주식시장에서 얻을 수 있는 이익보다 예금으로 얻을 수 있는 이익이 더 크므로, 주식시장에 있던 돈을 빼내어 예금으로 옮길것입니다.

    그렇다면 저 뿐만 아니라 상당수의 투자자들이 동일한 생각을 할 것이고.

    이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보유하고 있던 주식을 팔게되므로 주식가격은 떨어질 것입니다.

    코인시장 역시 이와 비슷하나, 다만 코인시장은 기존 경제시스템과 동떨어진 부분이 많고 국제적인 요소도 강하기 때문에 주식시장과는 그 방향이 다를때가 많습니다.

    사람들은 투자한 상품에 영향을 줄만한 소식이 나오면 이에 따라가는 성향이 있습니다.

    악재가 나오면 매도하고, 호재가 나오면 매수하는 식이지요.

    하지만 그것은 옳은판단일수도, 때로는 잘못된 판단일 수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이미 그 소식이 가격에 반영된 경우가 많기 때문이지요.

    때문에 일부 노련한 투자자들은 호재/악재에 바로 반응하는 것이 아닌, 자신이 해당 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높은가 낮은가에 따라 투자계획을 결정하기도 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식의 가격은 구매를 하는 사람이 많을수록 올라가게 됩니다. 주식을 사는 사람이 적고 파는사람이 더 많다면 가격이 떨어지게 됩니다.

    간단한예를들면 금리가 올라가게되면 주식을 투자하려고 대출을 낸사람이나 주식보다 은행의 이자가 더 안전하고 수익률이 높다고 생각하면 주식을 팔고 대출을 상환하거나 은행에 돈을 맡기게 됩니다.

    원리적으로는 금리가 높아질경우에 주식가격이 하락하는것이 맞지만 그런 경향이 있는것이지 주식은 다른 영향도 받기 때문에 꼭 내려가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화식 보험/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원리가 꼭 그대로 돌아가는것은 아니지만

    기본적으로는 금리가 상승하면 시중자금이 투자보단 예금으로 몰리게되어있고 위험은 낮고 수익률이 높은 은행으로 돈이 모여 주식시장에 자금이 빠지면서 주가가 하락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과거는 어느정도 맞았으나 요즘 경제는 여러변수로 인하여 꼭 금리가 상승했다고 주식시장이 하락한다는 공식이 맞지는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