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로고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09

안경을 쓰면 눈이 잘 보이는 이유는 뭘까요?

눈이 나쁘면 렌즈나 안경을 쓰는데 왜 다른 것들이 아니라 꼭 렌즈나 안경을 쓰는 걸까요? 이유를 생각해보면 과학적인 이유가 있을 거라고 생각이 드는데 눈이 나쁠 때 안경을 써야만 하도록 안경에 과학적인 원리 같은 게 있어서 그런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Raf.Kim
    Raf.Kim22.12.09

    안녕하세요. 김자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안경은 근시나 원시와 같은 굴절이상으로 인한 저시력을 원래대로 조정할 수 있는 도구이기 때문입니다.

    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오목 렌즈와 볼록 렌즈가 기본적으로 안경의 원리가 될 수 있습니다.

    안경은 결국 초점이 잘 못 맺히고 있는 물체를 굴절을 이용하여 눈에 잘 맺히게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필요한 초점을 맺을 정도로 렌즈에 굴곡을 주는 것이 도수를 맞추면 빛의 굴절에 의해 눈이 잘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시력이 안좋아지는 이유는 나이가먹거나 생활환경이 눈에 좋지않으면서 안구의 길이가 변화하거나, 눈의 초점을 모아주는 역할을하는 수정체를 조절하는 근육의 노화가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안경은 이러한 초점이 잘 안맞는것을 원래 초점위치로 교정해줆으로서 잘 보이게 만들어줍니다.


    감사합니다.


  • 우리가 어떤 물체를 본다는 건그 물체에서 반사된 빛이 우리 눈의 수정체를 거치면서굴 절되 망막에 상이 만들어지고,이 정보가 뇌에 전달돼 이해하는 과정을 의미해요.그런데 수정체 두께에 이상이 생기게 되면망막에 상이 정확히 맺히지 않아서흔히 우리가 아는 근시나 원시 같은 시력 저하 문제가 발생하는 거예요.

    근시는 가까이 있는 사물은 잘 보이지만,먼 곳의 사물이 희미하게 보이는 시력 상태를 말해요.이는 수정체가 두꺼워지면서 상이 망막 앞에 맺히면서 발생하는 거예요.그래서 오목렌즈 안경을 사용해 빛을 수정체 바깥쪽으로퍼지게 굴절시켜 상이 망막에 정확히 맺히게 되죠.

    반대로 원시는 먼 곳의 사물을 잘 보이지만,가까이 있는 사물은 잘 보이자 않는 시력상태를 말해요.나이가 들면 들수록 수정체가 얇아지면서상이 망막 뒤에 맺히기 때문에 가까이 있는 사물이 흐리게 보여요.이때 볼록렌즈 안경으로 빛을 수정체의 안쪽으로굴절시키면서 상이 망막에 맺히게 되는 거예요.

    출처 :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0338879&memberNo=23092448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물건을 볼 때는 안구 속에 있는 수정체는 자동으로 두꺼워지거나 얇아져 빛을 망막에 모으고 있다. 그러나 근시 또는 원시가 되면 빛을 망막에 잘 모을 수 없게 되어 버린다. 이 상태로는 희미하게 사물이 보이기 때문에 안경을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