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냉철한줄나비274
냉철한줄나비274

아이가 기어 다니는 시기에 궁금증이 있습니다.

워낙 활동량도 많기도 하고 기어다니는 곳이 집안인데요.

방바닥이 강마루로 되어 있고 마찰력이 조금 있는 소재입니다.

기어 다니면서 무릎이 마찰에 의해서 그런 것 같은데 주변 색에 비해서 어두워졌습니다.

첫 아이이기도 하고 이런 경험이 없어서 그러는데요.

자연스러운 현상인지, 회복은 되는 것인지, 부모가 해줘야 하는 행동 지침이라는 것이 있을지 전문가님 관점에서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기가 기어다니는 시기는 개인차가 있습니다.

      빠르면 6개월 부터 기기 시작하지만 일반적으로 8~12개월 즈음에 시작하기도 합니다.

      아이가 기어다닐 수 있으려면 자신의 몸무게를 자유롭게 지탱할 수 있어야 하므로 뇌의 중죄 부분의 기능이 성숙했을 때 가능 합니다. 이 발달은 8개월 전후로 이루어 집니다.

      아이가 기어다니기 시작하면 손에 잡히는 물건을 입안으로 넣는 경향이 있으니 위험한 물건을 미리 치워두세요,

      항상 작은 물건이나 뾰족한 물건이 없는지 항상 꼼꼼하게 신경 써 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한 콘센트나 멀티탭도 아이에게 위험할 수 있으니 마개로 닫아 좋으시고, 커튼이나 블라인드의 끈은 아이에게 감길 위엄이 있으니 아기 손에 닿지 않게 높이 묶어 두도록 하세요.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기어 다니는 시기는 아이들마다 다르겠지만, 보통 7,8개월 정도에 많이들 기어다닙니다

      기어다니게 되면 무릎에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다른 부위보다는 더 어두워지는 데 시간이 지나면 사라질테니 너무 염려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기는 시기는 아기마다 다른데 주로 아기의 기질이나 체중에 따라 달라집니다.

      기어가기를 하려면 아기가 중력에 대한 저항을 할 수 있고 자기의 몸무게를 자유롭게 지탱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것이 가능한 시기는 뇌의 중뇌부분의 기능이 성숙되어야만 가능한 것으로 대개 8개월 전후에 이루어집니다.

      물론 6개월 정도가 되면 아기가 엎드린 채로 방향을 바꾸기도 하지만 몸을 일으켜 기어 다니기

      시작하는 시기는 대부분 8개월 전후입니다. 아이들마다 성장 속도가 다르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기어다니는 시기는 생각보다 짧아요

      그렇기 떄문에 기어다니다가 걷게되면서

      차츰 무릎의 상처나 색깔도 변하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아무래도 기어다니면서

      처음에는 마찰이 있어서 무릎이 변색되나

      추후에 걸어다니면서 자연스럽게 없어지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유미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맨 바닥을 기어다니면 아무래도 마찰에 의해 상처도 나고 통증도 유발될수있으니 무릎보호대를 착용해 주시는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무릎보호대나 아대 사용 추천드리고

      해당시기 지나면 자연스럽게 마찰 줄면서 돌아오게 됩니다.

      무릎쪽 보습 많이 해주시고 맨바닥보다는 쿠션위를 기어다니게 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기들이 기어 다니게 되면 무릎에 충격이 강해지게 되므로, 때론 까맣게 되는 경우도 있답니다.

      점차 아이가 걸어다니기 시작하면, 무릎으로 기어 다닐 일이 없어지므로, 원 상태로 돌아올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