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예금·적금

시뻘건물총새152
시뻘건물총새152

단리이자와 복리이자는 어떻게 다른가요?

은행에 예금과 적금을 넣을까해서 알아보던중 단리이자와 복리이자가 나오던데 어떤차이점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단리이자와 복리이자의 차이

    단리이자와 복리이자는 이자 계산 방식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예금과 적금을 결정할 때 이 두 가지 이자 방식은 장기적으로 수익에 큰 차이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

    1. 단리이자 (Simple Interest)

    계산 방식: 원금에만 이자가 붙음.

    이자는 매 기간마다 원금을 기준으로 일정하게 계산됩니다.

    \text{단리이자 계산식: } I = P \times r \times t

    : 원금

    : 연이율

    : 기간 (연 단위)

    특징:

    계산이 간단하며, 매년 동일한 이자가 붙음.

    투자 기간이 길어도 이자가 원금에만 적용되므로 수익이 비교적 적음.

    예시: 원금 1,000만 원, 연이율 5%, 기간 3년.

    I = 10,000,000 \times 0.05 \times 3 = 1,500,000 \, \text{원}

    ---

    2. 복리이자 (Compound Interest)

    계산 방식: 원금 + 이전에 발생한 이자에 대해 다시 이자가 붙음.

    이자는 매 기간 원금과 이미 발생한 이자를 합산한 금액에 대해 계산됩니다.

    \text{복리이자 계산식: } A = P \times (1 + r)^t

    : 원금

    : 연이율

    : 기간 (연 단위)

    특징:

    시간이 지날수록 이자가 더 빠르게 증가함 (이자에 이자가 붙는 효과).

    장기 투자 시 매우 유리.

    예시: 원금 1,000만 원, 연이율 5%, 기간 3년.

    A = 10,000,000 \times (1 + 0.05)^3 = 10,000,000 \times 1.157625 = 11,576,250 \, \text{원}

    ---

    단리와 복리의 차이 요약

    ---

    적금과 예금에서의 활용

    1. 적금: 매월 일정 금액을 납입하며 이자가 쌓임. 복리 방식으로 계산되는 경우가 많아 유리.

    2. 예금: 한 번에 원금을 예치하며 만기까지 보관. 단리 또는 복리 중 조건에 따라 선택.

    ---

    결론

    단리: 단기 목표(1~2년)로 투자할 때 적합.

    복리: 장기적으로 더 큰 수익을 원할 때 유리.

    은행 상품을 비교할 때 이자 계산 방식과 **적용 빈도(연, 월, 일)**를 꼭 확인하세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복리이자는 이자가 매달 원금에 쌓이고 또 쌓이는 구조를 말하는 것입니다

    • 단리는 매달 쌓이지 않고 바로 그달에 이자로 지급이 되는 방식을 말합니다.

    • 즉 단리는 현금흐름을 만들기 좋고 복리는 큰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저축 방식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단리는 원금에 대한 이자만 받는 방식입니다.

    복리는 이자에 대한 이자를 한 번더 받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단리는 적금의 이자 계산 시 원금에 대해서만 이자를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면 매월 10백만원씩 적금을 하는데 이율이 3%라면, 10백만원 × 0 .03이 이자금액이 되며 매달 10백만원 ×0.03이 이자금액으로 계산됩니다.

    복리는 원금에 붙은 이자를 포함하여 이자를 계산합니다. 10백만원 × 0.03 이 첫달이자라면 다음달이자는 여기에 0.03이 곱해지게 됩니다.

  • 단리이자는 원금에 대해서만 이자를 계산합니다. 원금이 100만원이고 연이율이 5%라면 1년 후에 5만원의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반면에 복리이자는 원금뿐만 아니라 그동안 누적된 이자에도 이자가 붙습니다. 위와 같은 조건에서 복리로 계산하면 1년 후 5만원의 이자가 붙고, 그 이후에는 원금과 이자를 합한 금액에 이자가 계산됩니다.

    복리이자는 시간이 지날수록 더 많은 이자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단순합니다.

    단리이자는 내가 넣은 돈에만 일정 이자가 붙는 것이구요.

    복리는 이자에 이자가 붙는 것을 말합니다.

    보통 단리보다 복리가 1년기준으론 1.2배정도 높은데

    복리이자 예금상품은 거의 없어서 단리로만 많이 팔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단리 이자와 복리 이자에 대한 내용입니다.

    단리 이자는 원금에 대한 이자가 붙게 되지만

    복리 이자는 원금 + 이자 전체에 대해서 다시 이자가 붙는 것으로 결국

    이자에 이자를 주는 것입니다.

  • 단리 이자는 원금에만 이자가 발생을 하고, 복리 이자는 원금에 이자가 발생을 하면 원금+이자에 또 이자가 붙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자율이 동일하다면 복리가 훨씬 유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단리이자는 원금에 대해서만 이자가 발생하며, 복리는 원금에 이자가 발생하여 원금이 불어나는데 이 불어난 원금에 대해 다시 이자를 계산해 처음 가진 원금보다 이자가 더 커지는 것을 말합니다.

    단리는 원금은 고정인 상태이기 때문에 이자로 인해 재투자는 안되는 것이며 복리는 이자가 재투자 됨을 의미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권혁철 경제전문가입니다.

    단리 이자와 복리 이자는 이자를 계산하는 방식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예금과 적금을 선택할 때 단리와 복리의 차이를 이해하면 투자 수익을 극대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첫째, 단리 이자는 원금에만 이자가 적용되는 방식입니다. 즉, 처음 예치한 원금에 대해서만 매년 일정한 이자가 발생하며, 이전에 발생한 이자에는 추가로 이자가 붙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1,000만 원을 연 5% 단리 이자로 3년 동안 예치하면, 매년 50만 원의 이자가 발생해 총 150만 원의 이자를 받게 됩니다. 따라서 3년 후 총 자산은 1,150만 원이 됩니다.

    둘째, 복리 이자는 이전 기간에 발생한 이자도 원금에 포함되어, 이자에 이자가 붙는 방식입니다. 이로 인해 시간이 지날수록 이자 수익이 더 커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같은 조건으로 1,000만 원을 연 5% 복리 이자로 3년 동안 예치하면, 이자는 매년 원금과 이자를 합한 금액에 적용됩니다. 3년 후 총 자산은 약 1,157만 6천 원이 되어 단리 이자보다 더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단리는 원금에만 이자가 발생하여 이자 수익이 일정하지만, 복리는 이자에도 이자가 붙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이자 수익이 크게 늘어납니다. 단리는 단기간 자금 운용에 적합하고, 복리는 장기적으로 자산을 불리기에 유리합니다. 따라서 장기 예금이나 적금을 통해 자산을 키우고 싶다면 복리가 더 나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