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러블리한귀뚜라미235
러블리한귀뚜라미235

VI발동이 한국과 미국이 차이가 많이 나는지요?

주식시장에서 급등락시 vi가 발동이 되는데

그 기준이 한국과 미국시장과의 차이는

어떠한지요?

그리고 vi발동 시간과

발동이후 주식 급등락 폭이 더 심하지는지?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주식시장에서는 특정 종목이 갑자기 급등락할 때 '변동성 완화장치(VI)'가 발동되는데, 이는 크게 정적 VI와 동적 VI 두 가지로 나뉩니다. 정적 VI는 시초가나 직전 단일가 대비 주가가 10% 이상 변동했을 때 발동되고, 동적 VI는 개별 종목의 체결가격이 직전 체결가격 대비 2~6% 이상 급변할 때 발동됩니다.

    하지만, 미국 주식시장에는 개별 종목에 대한 VI 제도가 따로 없고, 대신 미국은 전체 시장이 급락할 때 서킷브레이커라고 해서, S&P 500 지수가 특정 비율(7%, 13%, 20%) 이상 하락하면 시장 전체의 거래를 일시적으로 중단시키는 훨씬 더 큰 규모의 조치가 발동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VI시스템은 정적 VI시스템과 동적 VI시스템이 있습니다. 발동시 모든 매매 거래 정지가 되며 2분간 대기를 하며 1분간 단일가 매매이후 정상거래가 시작됩니다. 한국은 정적 VI는 기준가 대비 ±10% 이상 변동할경우 발동하며 그리고 직전 1분간 평균가 대비 급격한 변동시 동적 VI가 발동됩니다.

    개별 종목 LULD라는 시스템으로 미국은 VI가 발동되며 Tier 1 종목인 S&P500과 러셀 1000종목은 5분간 평균가 대비 ±5% 변동할경우 5분간 매매가 중단됩니다. 나머지는 Tier 2 종목으로서 5분간 평균가 대비 ±10% 변동할경우 5분간 매매가 중단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 급등락 시 VI가 작동해 일정시간 거래를 멈춥니다. 미국은 서킷브레이커, 룰을 적용하지만 한국처럼 종목별 VI는 없습니다. 한국은 단일가 매매로 이어지고, 미국은 거래 정지 후 재개장하는 방식이라 발동 기준과 영향이 다릅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의 VI는 일정 가격 이상 급등락 시 2분 간 매매를 중단 하고 단일가 매매로 전환 하는 제도 입니다. 이는 급겨한 변동을 완화하고 투자자에게 대응 시간을 주려는 목적입니다. 반면에 미국은 한국처럼 일일 단일가 VI제도는 없으며 서킷브레이크나 개별 종목 매매 일시 제한 같은 제도가 운영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변동성 완화 조치의 하나인 vi의 경우 한국과 미국의 기준이 조금 다르지만 그 의미는 같습니다. 아러한 것은 변동성이 발생했을때 투자자들이 어떻한 이유로 상승했고 이러한 상승의 원인의 대한 생각할시간을 미국과 한국에 양국모두 제공한다는 특징이 있습나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말하는 VI는 변동성완화장치라고 해서 갑자기 주가가 급등락하면 잠깐 거래를 멈추고 호가를 다시 맞추는 장치입니다. 보통 2분 정도 멈추고 다시 열리는데 그 사이에 매수매도 세력이 숨 고르기를 하는 거죠. 미국은 좀 다릅니다. 서킷브레이커나 루트홀트 같은 제도가 있고 종목별보다는 시장 전체나 일정 범위에서 발동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그래서 체감상 우리나라가 개별 종목 단위에서 자주 걸리는 느낌이고 미국은 큰 충격일 때 시장 차원에서 걸리는 구조라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