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력근무제의 장점과 기업 입장에서 고려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탄력근무제는 근무 시간을 탄력적으로 조절하는 유연 근로 방식인데요 이 제도의 장점은 무엇이며 기업 입장에서 고려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성필 노무사입니다.
질문내용만으로는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나, 탄력근무제는 업무량에 따라 근무시간을 조정할 수 있어 인건비 효율화와 근로자 워라밸 향상에 도움이 되는 제도입니다. 사용자는 바쁜 시기에는 근로시간을 늘리고, 한가한 시기에는 줄이는 방식으로 운영할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다만, 근로자대표와 서면 합의, 근로일별 근로시간 사전 고지, 1주 최대 48시간 제한 등 법적 요건을 철저히 지켜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구고신 노무사입니다.
근로시간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다는것은, 회사가 경영환경에 따라 직원들의 근로시간을 조정하여 대응이 가능하다는 얘기입니다
예컨데 빙과류 업체에서 시즌이 6~8월에 일을 몰아서하고 비시즌인 9~12월에 일을 덜 하면 추가적인 인건비 부담없이 수요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차충현 노무사입니다.
탄력적 근로시간제란 어떤 근로일, 어떤 주(週)의 근로시간을 연장시키는 대신에 다른 근로일, 다른 주(週)의 근로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일정 기간의 평균 근로시간을 법정근로 시간(1주 40시간) 내로 맞추는 근로시간제로서 인건비 절감 및 주 52시간을 초과하더라도 법 위반이 되지 않는 장점이 있습니다.
근로시간을 연속하여 근로하는 것이 효율적이거나 고객의 편리를 도모할 수 있는 업종(운수, 통신, 의료서비스업 등) 계절적 업종(빙과류 ․ 냉난방장비 제조업 등) 또는 업무량이 주기적으로 많은 업종(음식서비스, 접객업 등) 기계를 쉬지 않고 가동시키기 위하여 근로가 연속하여 필요한 업종(철강, 석유 화학 등)에 적합한 제도라는 점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