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정직한후투티0703
정직한후투티070322.07.08

전기모기채는 어떤원리로 모기를잡을수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깔끔한꽃새48입니다.

    트랜스는 강압도 할 수 있고 승압도 할 수 있습니다. 전기모기채의 겨우 승압을 하는건데 2차코일에 코일을 엄청나가 많이 감아주면 수10배~수100배의 전압을 전자유도 작용으로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차에 100회를 감고 2차에 1000회를 감고 1차에 교류 및 펄스를 가하면 1차 코일에 인가된 전압이 2차에는 10배의 높은 전압으로 출력이 된다는 겁니다. 즉, 10V의 전압을 100V의 전압으로 만들 수 있다는 이야기죠..

    그리고, 이렇게 나온 100V의 전압을 정류다이오드와 콘덴서를 이용하여 3배압, 4배압

    정류를 하게 됩니다. 회로 구조는 다이오드=> 콘덴서 ==>다이오드=>콘덴서=>다이오드 콘덴서..가 트랜스의 출력단에 연결됩니다. 그렇게 되면 100V가 10000V 이상까지 올라가게 됩니다. 단, 전류는 미약합니다. (0.005A정도) .. 이렇게 만들어진 직류전압이 10000V 이상 되게되면 코로나방전이라는걸 하는데... 가까운 거리에 금속이 있다면 물리적인 접촉없이도 전기가 그 금속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전압이 높을 수록 이 작용은 매우 활발해 집니다. 이 파리채를 보면 그물망 두장이 서로 가깝게 마주보고 있습니다. 이 사이에 벌레가 붙게되면 마로 초죽음이 되는겁니다...

    다음은 어떻게 3V의 전압으로 그렇게 높은 전압을 만들수 있는가 인데... 여기에서 사용되는 회로가 트랜스의 입력단에 일정 주기의 펄스를 입력하기 위하여 인버터라는 회로가 들어가게 됩니다. 여기에서는 구형파가 사용됩니다. 흔히 볼수 있는 베터리로 동작하는 인버터 형광등이나 USB 램프등이 이 원리를 사용합니다.

    핵심은 펄스 트랜스를 얼마나 잘 설계하고 포화되지 않도록 하느냐인데... 실제로는 많은 손실이 있어 효율은 60~70%로 매우 낮은 편입니다. 따라서 이 트랜스를 제작하는것이 쉽지 않습니다.

    정리하면, 3V입력=>스위칭회로 =>펄스트랜스=>다이오드=>콘덴서=>다이오드=>콘덴서 =>다이오드==>콘덴서 ... 여기의 콘덴서는 고주파용... 세라믹 콘덴서가 사용되고... 출력전압에 상응하는 내압을 가져야 합니다.

    전기살충기 같은 큰제품들은 좀 더 용량이 큰것일뿐 기본 원리는 다 비슷합니다.


  • 안녕하세요. 화사한잉어13입니다.

    각종 벌레가 격자에 닿아 +극과 -을 이루는 격자 사이에 끼이면 그 몸을 도선삼아 커패시터에 축전된 고전압이 흘러 파리나 모기 등을 감전시켜 죽이는 원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