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24.02.23

LTV/DSR의 차이가 뭔지 알 수 있을까요?

뉴스에서 부동산 관련하여 어려운 용어처럼 나오던데

용어의 뜻을 모르니 이해가 안됩니다.

간단명료하게 무슨 뜻인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LTV와 DSR의 경우 대출금액을 제한 하는 정부 규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

    LTV는 주택담보가치 대비 대출이 가능한 금액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하자면 시세 대비 몇 프로까지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시세, 즉 주택담보가치는 KB부동산시세, 감정가액, 국세청 기준시가 등 공신력 있는 평가 자료를 사용하여 결정됩니다.

    DSR은 총체적 상환능력 비율을 의미합니다. 개인별로 정해진 제한 수준은 없으나 금융회사에서 평균 DSR 수준을 관리하기 위해 대출심사 시, 적극 고려하는 기준이 되기도 합니다. DSR 비율은 연간 소득을 연간 대출상환액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과거에는 DSR에 대한 규제가 없을 때 에는 아파트 시세 대비 80%라면 1억원 아파트를 대출할 때에 8천만원이 소득과 상관없이 나오는 것이였다면 최근에는 DSR적용으로 인해 대출을 실행시키고 싶다고 하더라도 소득에 따라 대출이 어려운 상황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용일 공인중개사입니다.

    LTV(담보인정비율)

    -자산의 담보가치에 대한 대출 비율

    (예를 들어 아파트 감정 가격이 5억원이고 담보인정비율이 70%이면 금융기관으로부터 3억 5천만원의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 )

    DSR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차주의 상환능력 대비 원리금상환부담을 나타내는 지표

    (차주가 보유한 모든 대출의 연간 원리금상환액을 연간소득으로 나누어 산출됩니다.)


  • 안녕하세요. 곽대영 공인중개사입니다.

    LTV는 집값에서 얼마나 대출이 되는지.

    LTV가 70%이고 집값이 10억이면 최대 7억까지 대출 가능.

    DSR은 내 소득에서 대출 원금과 이자를 얼마나 낼 수 있는 정도로 대출이 되는지.

    DSR이 40% 이고 내 소득이 5천만원이면 연 대출 원리금이 2천만원이 되는 선까지 대출 가능.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강애 공인중개사입니다.

    LTV : 주택을 담보로 제공 했을 때 담보로 인정 해 주는 비율. 즉 대출기관에서 빌리 수 있는 금액을 말합니다.

    DTI :총부채상환비율로 대출금액을 연소득으로 나누었을 때 나타내 부채를 갚을 능력을 판단 하는 기준 입니다. DTI 비율이 높으면 대출을 상환할 능력이 낮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DSR은 모든 대출금에 대한 원리금 상환 부담 비율로 DSR을 적용하면 대출금액이 가장 낮아 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