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미술 이미지
미술학문
미술 이미지
미술학문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23.06.14

수화 라는 것은 전 세계적으로 공통된 언어인가요?

수화는 장애가 있는 사람에게는 아주 유용한 언어로 통하는데요

언어에 장애가 있을 때 사용하는 수화는 전 세계적으로 공통된 언어인가요?

누가 언제 개발했던 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6.14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수화는 만국 공통어가 아니라고합니다. 각 언어권 커뮤니티의 자체적인 문화가 섞여 발전했기따문에 세계 모든 국가의 수화가 다르다고합니다. 또한 흑인과 백인 커뮤니티의 수화도 다르다고하네요.

    우리나라 수화는 1909년에 Rossetta Sherwood Hall(미국의 불감리교 선교사)여사가 중국의 농아학교 시찰 후, 농교육에 관심을 갖게 되어 평양맹학교 농아부 (한국 최초의 농아교육 실시) 를 설립했으며,

    1913년에 재생원(현 서울선희학교)에서 제도화된 학교교육 실시했고, 일본식 수화를 도입했다고합니다. 1947년에 국립맹아학교 초대교장 윤백원선생에 의해 한국 지문자가 창안되었다고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수화의 역사

    한국 수화는 미국 북감리교 선교사인 로제타 셔우드 홀(Rossetta Sherwood Hall) 여사에 의해 청각장애아 교육이 처음으로 시작된 1909년부터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발전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홀 여사가 청각장애아 교육에서 어떤 수화를 사용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학교교육에서 자주 사용되는 여러 용어 중에서'공부' '배우다' '가르치다' '친구' '놀다' 등에서 미국 수화(ASL)와 비슷한 한국 수화(KSL)는 없는 것으로 보아 홀 여사는 미국 수화를 몰랐을 가능성이 높다.

    1913년 조선총독부 산하의 제생원(濟生院, 현 국립 서울선희학교)에서 일괄적으로 실시한 5년제 청각장애아 교육에서 일본 수화(JSL)를 사용했다는 기록이 수화에 관한 최초의 문헌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한국 수화는 일본 수화에 많은 영향을 받은 것은 사실이나 한국 수화가 일본 수화에 의해 생성된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알고 있는 수화를 사용하기 이전 신라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에도 분명히 청각장애인은 있었고 서로 왕래는 없다하더라도 일반인과 또는 그들 나름의 대화는 있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수화의 원리는

    동양인 특히 중국, 한국, 일본의 문화적인 것과 비슷하다고 해야 합니다

    생각하는 사고방식에 의해 한자의 상형문자처럼 수화로 표현되고, 그외의 단어들도 조합또는 그들나름의 생각을 통합해서 만들어진것입니다.

    수화의 장점과 단점

    수화는 언어입니다. 님이 생각하는 방향이 뭔지는 잘모르겠으나,

    일본어는 왜 배우고 일본어의 역사, 원리는 무엇이고 장단점이 뭐라 생각하십니까

    라는 질문과 같습니다.

    농아인사회를 이해하고 대화를 하기위해서 수화가 필요한 것이죠.

    만약에 장점이라고 뽑는다면 남들이 잘모르는 수화를 할 줄 안다는 것이고

    단점이라면 수화가 국제통용이 아니라는 점이겠죠.


  • 안녕하세요. 박순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아니다. 이유는 간단하다. 전 세계가 각 국의 음성언어를 사용하듯이 수화 또한 예외가 없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많은 청인들이 수화는 전 세계가 같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각국마다 다르다고 하면 만국공통어로 만들어 쓰면 전 세계 농아인들이 소통할 수 있으니 좋을 것 같다고 조언까지 한다.


    나라마다 독자적인 언어를 갖고 있듯 수화 또한 각국마다 다를 수 밖에 없다. 우리나라의 수화도 역사적, 지리적 요인으로 인해 이웃나라인 일본과는 수화의 형태가 유사한 경우도 많지만 각국의 수화는 그 나라의 농아인들에 의해 자생적으로 생성되고 변화되는 과정을 갖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