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땅속의 말똥구리
땅속의 말똥구리23.02.27

조선시대 물시계는 어떻게 시간을 측정했나요?

조선시대에 보면 해시계와 물시계가 있었다고 하는데요.

해시계는 태양빛으로 시간을 파악한건 이해가되는데

물시계는 어떤원리로 동작가능한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물시계는 물이 일정한 속도로 흐르는 것을 이용하여 시간을 측정하는 시계입니다. 물시계의 원리는 간단합니다. 시계에 물을 채워 두면 물은 시간에 따라 일정한 속도로 빠져나가게 됩니다. 물이 빠져나가는 양은 물시계의 구조에 따라 다르며, 물이 빠져나가는 양이 일정하다면 물의 높이는 시간에 따라 일정하게 감소합니다.


    조선시대 물시계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의 시계 그릇을 이용하였으며, 그릇 안에는 일정한 속도로 물을 내놓는 물이동장치가 설치되어 있었습니다. 이 물이동장치는 일반적으로 아래쪽에 있는 물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위쪽으로 물을 순환시키는 움직이는 물통으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이렇게 하면 물이 일정한 속도로 시계 그릇 안으로 흘러들어가면서 높이가 감소하게 됩니다. 그리고 그릇의 높이에 따라 측정된 시간을 읽을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조선시대 물시계는 선조들이 자연의 원리를 이용하여 발명한 기구 중 하나로, 당시에는 윤년이나 월의 길이를 정확하게 계산하는 등의 문제가 있어 정확한 시간 측정이 어려웠지만, 일반적인 시간 측정에는 유용하게 사용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당시에는 획기적인 발명품중에 하나였죠. 그림으로 설명드리면 간단한데요. 간단히 글로 말씀드리면 제일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항아리에 물을 부으면 원통을 통해 흘러들어가고 구슬을 통해 북을 울리는 원리입니다.


  • 안녕하세요. 천재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요즈음 사우나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모래시계와 같은 원리로 두 개의 그릇을 놓아두고 위의 그릇에서 아래의 그릇으로 물이 떨어지면 아랫그릇의 수위가 높아지게 되고, 물에 띄워높은 시각 표시가 되어 있는 살대가 떠오르면서 시각을 알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시계는 말그대로 물을 떨어뜨려 시간을 측정했습니다.

    일정양의 물을 채워두고 시간이 지나면서 물방울이 떨어지는데 시간에 따라 남은양을 체크하여 시간을 측정합니다.


  • 안녕하세요. 허재원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시계를 자격루 라고 합니다. 자격루의 원리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모래 시계와 유사합니다

    즉 규칙적으로 떨어지는 물방울의 양을 이용해 시각에 따라 저절로 울리게 만들어서 시간을 알려주는 원리입니다. 이 때 물은 중력에 의해서 위에서 아래로 흐르게 되고 흐르는 물의 양을 일정하더록 조정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시계는 파수호로부터 일정하게 수수호로 물이 공급되며 안에있는 부표 위에 눈금이 새겨진 잣대가 있는데 그것이 부력의 원리에 의해 일정하게 쭉 올라오게됩니다. 그렇게되면 방목에 설치해 둔 작은 구슬이 연잎을 갖고 있는 동통으로 떨어지게되며 떨어진 구슬은 안쪽에 설치돼있는 경점장치 및 시보장치로 흘러가서 작동하게됩니다. 그 힘으로 문이 열리면 더 큰 구슬이 떨어지게되어있어 운동량이 더욱 커집니다.

    즉, 첫번째 포인트는 진폭장치로 작은 쇠구슬이 관을 타고 흐르다 지렛대를 이용해 더 큰 구슬을 밀어 떨어트려 그 힘으로 인형을 건드는 것인데요. 이러한 기계식 증폭과정을 거친 힘으로 종과 북 징을 울려 시간을 알릴 수 있도록 만든 자격루는 자동시보 물시계입니다. 세부 사항은 출처 확인 부탁드립니다.

    [출처] 물시계 자격루 원리 장점 과 만든사람 장영실 까지 알아보기|작성자 365day 빵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물시계인 자격루는 물이 일정하게 흐르는 속도를 이용한 것입니다.

    물의 일정한 흐름을 이용하여 시간을 측정하고, 일정한 시간에 구슬을 이용하여 신호를 보내도록 했습니다.

    이 신호와 동시에 다른 구슬이 지렛대를 작동하여 인형이 종을 치게 하였고, 그 시각에 해당하는 12지 인형이 차례로 시간을 알려주도록 한 것이죠.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물시계는 물의 흐름으로 시간을 측정하는 장치입니다. 조선시대에는 여러 가지 종류의 물시계가 있었는데,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수동형 물시계였습니다.

    수동형 물시계는 물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일정한 양만큼 떨어지는 것을 이용하여 시간을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물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떨어지기 위해서는 물을 모은 지주에 구멍을 내어 물이 일정한 양만큼 흘러나가게 해야 합니다. 물이 흘러나가는 양과 시간은 지주의 크기와 구멍의 크기, 구멍의 수 등에 따라 결정됩니다.

    수동형 물시계는 일반적으로 세 개의 지주를 연결하여 만들어졌습니다. 중앙에 있는 지주는 작은 구멍이 뚫려 있고, 이 지주의 물이 다 빠지면 옆에 있는 지주의 큰 구멍으로 물이 이동하여 다시 중앙의 작은 구멍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이렇게 물이 연결된 지주를 통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물이 떨어지며, 이를 이용하여 시간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허용석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시계는 안쪽에 눈금이 새겨지고 밑바닥에 작은 구멍을 가진 그릇에 물을 채워 이 물이 일정하게 흘러나오는 것을 이용한 시계로, 흐린 날과 밤에 사용할 수 없다는 해시계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제작되었으며, 물의증가와 감소로 자동으로 시간을 측정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