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중에 물타기와 불타기에 대해서 궁금하네요?
주식 매매에 관심이생겨서 조금씩 하는데요
물타기와 불타기에 정확한 의미와 어떻게 적용하는지 궁금하네요? 기본적으로 물타기는 내려가는 주식 조금씩 더 사는걸로 알고 불타기는 반대개념인데
어떻게 적용해야 할지요 주식에 관심을 가진지는 3개월미만입니다.
안녕하세요
물타기를 하는 것은 하락한 주가의 평균 단가를 내려서 향후 반등시 빠져나오기 위한 전략으로 사용합니다
불타기는 이와 비슷하지만 상승하는 주식에 올라타서 수익을 같이 보는 방식으로 우상향하는 주식에 적용하여
큰 수익을 노릴 때 사용합니다
감사합니다.
물타기와 같은 경우에는 손실 중인 종목에서 자금을 계속 투입하여 평단가를 낮추는 것,
불타기와 같은 경우에는 상승하는 종목에 자금을 계속 투입하여 수익율을 높이는 것으로
기업 가치 분석 후에 더 투자여부를 결정하시는 등 함으로써 물타기를 할지, 홀딩할지 이런 여부를 결정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보통 주가의 흐름이 좋을 때는 어느정도 좋고,
안좋을 땐, 안좋게 흘러간다고 가정해 볼 때, 사용할 수 있는 용어인데요.
안좋게 흘러간다고 할 때, 내가 가진 평균 단가가 마이너스라면
이때 추가 매수를 하는 것이 물타기
좋게 흘러갈 때, 내가 가진 평균 단가가 플러스일때,
추가 매수를 하는 것이 불타기
라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아시다시피 물타기는 내렸을 때 주식이 싸졌으니 더 싼값으로 더 많이 사고, 평단가도 낮추는 것입니다. 본인 나름대로의 계산으로 -5%되면 얼마 -10%되면 얼마 이렇게 살 수 있죠.
불타기는 오르는 주식에 더 많이 매수하는 것인데, 본인의 목표주가가 있어야 가능한 일입니다. 50%오른다고 봤는데, 10%오르고 횡보하거나 돈생겼으면 더 사는 것입니다. 아니면 30%오를 줄 알았는데, 실적발표 한거 보니 생각보다 더 잘해서 더 오를수 있을거 같다 싶으면 목표가 상향하고 더 살 수도 있는거구요.
안녕하세요 주식에서 물타기 불타기 별거 없습니다 샀는데 주가가 하락하고 있는데 더사면 물타기 / 샀는데 주가가 상승하고 있는데 더사면 불타기 이렇게 이해하시면 됩니당!
"물타기"는 주가가 하락하여 저점에 다다랐을 때 추가 매수를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주가가 저점에 도달했을 때 추가 매수를 통해 평균 매입가를 낮추고 장기적으로 이익을 극대화하는 전략입니다. 반면에 "불타기"는 주가가 상승하여 고점에 다다랐을 때 매도를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주가가 고점에 도달했을 때 이익을 실현하고 손실을 최소화하는 전략입니다.
안녕하세요
말씀하신 대로 물타기는 주가가 하락하는 상황에서 사용을 하고
불타기는 주가가 상승하는 상황에서 사용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전략들은 항상 신중하게 접근해야 하며, 자신만의 명확한 원칙과 기준을 세우고 그에 맞게 투자하셔야 합니다.
기준이 각자의 상황에 맞게 다르기 때문에 누구의 가이드를 받는것보다 본인의 자산과 투자 성향을 고려해서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물타기 (scale trading)
주가가 하락할 때 추가로 주식을 매입하여 평균 매입 단가를 낮추는 것을 말합니다.예를 들어, 주식을 100주 보유하고 있는데 주가가 하락하여 50주를 추가로 매입하면 평균 매입 단가는 낮아집니다.
일정한 스케쥴을 가지고 일정 비율로 추가 매수를 하는 방법과 매수 금액을 늘려가는 방법이 있습니다.
물타기는 주가가 하락할 때 손실을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전략이지만, 주가가 계속해서 하락할 경우에는 손실이 더욱 커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불타기 (scalping)
주가가 상승할 때 추가로 주식을 매입하여 평균 매입 단가를 높이는 것을 말합니다.불타기는 주가가 상승할 때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략이지만, 주가가 하락할 경우에는 손실이 더욱 커질 수 있습니다.
보통 물타기를 많이 하는 것 같습니다.
물타기는 주식 가격이 하락할 때 더 저렴한 가격에 주식을 추가로 매수하여 평균 매입 단가를 낮추는 전략입니다.
반대로 불타기는 주식 가격이 상승할 때 추가 매수를 하여 상승세를 타고 더 큰 수익을 기대하는 전략입니다.
주식 매매를 할 때 물타기는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불타기는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신중하게 계획을 세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신 대로 물타기는 내려가는 주식에 조금씩 더 매수를 하는 것이고 불 타기는 올라가는 주식에 더 매수를 하는 것입니다
느낌은 비슷해 보이지만 투자하는 사람들은 정반대의 성향입니다. 물타기는 내려간 주식은 다시 올라갈 것이다라는 정상 회귀 이론을 지지하는 사람들이고 불타기를 하는 사람들은 올라가는 추세의 주식이 앞으로도 계속 올라갈 것이라는 추세론자들입니다. 그래서 물타기와 불타기는 비슷해 보이지만 정반대의 성향입니다
주식 물타기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성장가능성이나 반등가능성이 있지만 단기적으로 하락 중일때 본인이 -5% -10% 등 설정한 금액을 토대로 하고,
주식 불타기는 단기적인 상승세에 올라가는 주가에 올라타는 것으로, 단기적인 관점에서 매매하셔야 합니다.
물타기와 불타기의 개념 및 적용 방법
물타기 (Averaging Down)
물타기는 주가가 하락할 때 추가 매수하여 평균 매입 단가를 낮추는 전략입니다. 예를 들어, 주식을 10만원에 샀는데 주가가 8만원으로 하락하면 8만원에 추가 매수하여 평균 단가를 낮추는 방식입니다. 이 전략은 주식의 장기적 성장 가능성을 확신할 때 사용하며, 주가가 하락할 때마다 일정 금액씩 나누어 매수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주가가 계속 하락하면 손실이 커질 수 있으므로, 충분한 리서치와 자금 관리가 필요합니다.
불타기 (Averaging Up)
불타기는 주가가 상승할 때 추가 매수하여 평균 매입 단가를 높이는 전략입니다. 주가가 10만원에서 12만원으로 상승하면 12만원에 추가 매수하여 평균 단가를 높이는 방식입니다. 이 전략은 상승세를 보이는 강세 종목에 적용하며, 주가가 상승할 때마다 일정 금액씩 나누어 매수합니다. 목표 수익률을 설정하고, 상승 모멘텀을 활용하되 주가 조정 가능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상승 중인 주식을 계속 매수하다가 주가가 하락하면 손실이 커질 수 있어 신중해야 합니다.
결론
물타기와 불타기는 각각 하락장과 상승장에서 유용한 전략입니다. 각 전략을 사용할 때는 철저한 분석과 리스크 관리가 중요합니다. 주식 투자에 관심을 가진 지 3개월 미만이라면 충분한 학습과 모의 투자를 통해 경험을 쌓는 것이 좋습니다.
질문해주신 주식 매매 중에서 물타기와 불타기에 대한 내용입니다.
물타기란 매수한 주식의 주가가 하락했을 때에 탈출 전략 중 하나로 물타기를 통해서 평단가를 낮추고
낮춰진 평단가에 맞춰 주가가 회복하면 탈출 혹은 수익을 낼 수 있는 것입니다.
불타기는 이와 반대로 매수한 주식이 계속 가격이 오늘 것에 대한 확신 하에
오르는 주식을 추가로 수량을 늘리기 위해 더 구매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