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무역에서 무역 밸런스(Trade Balance)란 무엇을 의미하나요?
안녕하십니까
제목 그대로 국제 무역에서 무역 밸런스(Trade Balance)란 무엇을 의미하나요?
쉽게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
무역 밸런스(Trade Balance)는 한 나라가 상품과 서비스 금액 기준으로 수출과 수입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이와 같이 그 나라의 수출입 균형을 볼 수 있는 지표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무역 밸런스는 일종의 무역수지의 개념으로 그 나라의 경제 상황을 나타내는 중요 지표입니다. 만약 해당 지표가 양수인 경우 수출이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어 경제적으로 유리한 단계로 유추될 수 있으며 음수인 경우 현재와 같이 무역 적자로 경제 상황이 그렇게 좋지는 않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무역적자라고 반드시 경제 성장이 퇴행되고 있다는 것은 아니며 이는 상황 및 국제 상황에 따라 판단되어야 할 부분입니다.
답변 내용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박재민 관세사 드림
안녕하세요. 박재성 관세사입니다.
Trade Balance는 무역수지를 뜻합니다. 무역수지는 상품의 수출입 거래에서 생기는 국제수지로서, 상품의 수출액과 수입액의 차액을 말합니다. 수출액이 수입액보다 크면 무역수지 흑자라고 하며, 반대로 수입액이 수출액보다 큰 경우 무역수지 적자라고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가 외국에 수출한 금액이 100원이고, 우리나라가 외국에서 수입한 금액이 70원이라면 30원의 무역수지 흑자가 났다고 합니다. 반대로, 우리나라가 외국에 수출한 금액이 100원이고, 우리가 수입한 금액이 120원이라면 20원의 무역수지 적자가 났다고 표현합니다.
무역수지는 수출의 경우 본선 인도 가격(FOB), 수입은 운임·보험료 포함 가격(CIF)으로 계산합니다.
무역수지는 매월 관세청에서 발표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난해 연간 무역적자 규모가 472억 달러에 달하며, 연간 기준으로는 금융위기 이후로 14년 만에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경기 침체, 러-우 전쟁 등으로 인하여 작년 4월부터 1년 넘게 적자를 연속적으로 기록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올해는 3월 밖에 되지 않았으나 이미 지난해 절반에 해당하는 적자가 발생하여 상황이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무역수지 적자의 가장 큰 원인은 에너지 수입 급증으로, 정부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원유, 가스, 석탄 등 3대 에너지 수입금액이 1908억 달러인데, 이는 2021년 대비 784억 달러 증가한 수치로 에너지 수입금액이 급증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에너지를 수입에 전적으로 의존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인데, 지난해 초 러-우 전쟁등으로 인해 에너지 가격이 급등하여 높은 가격에 에너지를 수입하다 보니 에너지 수입금액이 급증하였고 무역수지가 악화될 수 밖에 없었습니다.
또한, 경기침체로 인해 반도체를 비롯하여 전반적으로 수출이 둔화됨에 따라 수출 증가세가 둔화된 것도 무역수지 적자의 원인 중 하나입니다.
특히 반도체는 메모리 가격 하락에 따른 반도체 수출 급감이 수출 둔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또한, 대중국 수출이 감소한 것도 수출 감소의 큰 원인 중 하나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무역수지(Trade Balance)란 일정 기간 동안 국가간 수출/수입을 통해 생겨난 국제수지, 쉽게 말해 어떤 나라가 외국에 상품을 팔아서 번 돈과 외국의 물건을 구매(수입)하기 위해 사용한 돈의 차이를 뜻합니다.
즉, 물품을 사고팖에 있어서 돈이 얼마나 남았는지, 얼마나 손해를 보았는지를 계산하는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러한 무역수지의 경우 통상적으로 상품수지와 많이 비교되는데, 상품수지는 소유권을 기주으로 판단하는 반면 무역수지는 수출, 수입시점을 기준으로 잡기 때문에 일부 차이가 발생하는 점도 참고부탁드립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하며, 도움이 되신 경우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무역 밸런스(Trade Balance)란 국제 무역에서 한 국가의 수출과 수입 간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즉, 특정 국가가 일정 기간 동안 수출한 상품과 서비스의 가치와, 동일한 기간 동안 수입한 상품과 서비스의 가치를 비교하여 차이를 계산한 것입니다.
무역 밸런스는 일종의 경제 지표로 사용되며, 양수일 경우 해당 국가가 다른 국가보다 더 많은 상품과 서비스를 수출하여 외화를 얻은 것을 의미하고, 음수일 경우 해당 국가가 다른 국가로부터 더 많은 상품과 서비스를 수입하여 외화를 사용한 것을 의미합니다. 무역 밸런스가 양수인 경우, 해당 국가는 순수출국가로 간주되며, 음수인 경우에는 순수입국가로 간주됩니다.
무역 밸런스는 국가의 경제 활동과 국제 무역의 건강 상태를 평가하는데 사용되며, 경제 정책 수립과 국제 경제 협력에서 중요한 요소로 고려됩니다. 무역 밸런스가 양호하다면, 해당 국가의 경제적 안정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무역 밸런스가 불균형하다면, 국가의 경제적 취약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
무역 밸런스(Trade Balance)는 무역수지를 의미합니다.
무역수지는 일정기간 동안 수출입거래에 의하여 발생한 우리나라와 외국과의 대금 수불차이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통관기준' 수출과 수입의 차액을 의미합니다. 무역수지는 관세청에서 일정한 기간의 수출입규모를 집계하여 발표하며, 이와 관련된 관세청 사이트 링크 드리니 한번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unipass.customs.go.kr/ets/index.do?menuId=ETS_MNU_00000214
이러한 무역수지는 수출은 FOB, 수입은 CIF 가격으로 평가하고, 기준일자는 상품의 수출입 신고 수리일을 기준으로 수출입을 집계한다는 점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 국제무역에서 무역밸러스는 무역수지의 균형을 의미한다고 봅니다. 국가도 1년간 나라살림을 하는데 있어 세입(수입)과 세출(지출)을 밸런스 균형을 맞추어 꾸려 나가는 재정 건전성 학보가 중요합니다. 너무 많이 세금을 징수하거나, 너무 많은 예산을 지출하여도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합니다.
2. 2018년부터 시작된 미중무역전쟁도 결국은 여러가지 정치적인 요인도 있지만, 근본적인 이유는 미국이 중국과의 통상교역에서 지속되는 만성 무역수지 적자를 보고 있어 이를 극복해 보고자 벌인 전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무역수지(balance of trade)를 말씀하시는 것으로 이해됩니다.
무역수지(Trade Balance)란 일정 기간 동안 국가간 수출/수입을 통해 흑자/적자를 말합니다.
우리나라는 무역수지를 수출입 통관액을 기준으로 산정하고 있으며 전통적인 무역흑자국이지만 현재는 글로벌 경제상황의 어려움으로 인한 무역적자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