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예금·적금

올곧은꽃무지224
올곧은꽃무지224

적금과 예금의 이율 차이는 어떻게 계산해야될까요?

안녕하세요.

일년 저축으로 100만원을 모은다고 가정할때 적금과 예금을 가입한다고 가정했을때 예금의 이율이 5%라면 같은 이자를 받기 위해서 적금의 이율은 몇 %를 받아야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100만원을 5% 금리의 예금으로 입금하면 1년뒤에 세전 이자는 5만원을 받습니다.

    100만원을 1년간 적금으로 모으려면 월 83,333원씩 원금 납부하면 원금 100만원이 되고 금리는 11%가 되면 세전 이자로 5만원을 받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이건 금액이나 복리&단리 여부, 세금 등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순 있지만

    단순하게 계산을 해보겠습니다.

    100만원을 가지고 5% 금리의 예금을 1년간 하면 단리로 5만원의 이자가 나옵니다.

    이때 적금이라면 동일하게 100만원을 사용해야 하니 이를 12개월로 나눠 입금을 한다고 치고 계산하면,

    적금일 때에는 약 9.23%가 나와야 1년 후 5만원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적금과 예금의 이율 차이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금보다 최소 2-3퍼센트는 높아야지

    적금이 이자가 비슷하게 책정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예금은 처음부터 목돈을 넣어서 1년 내내 이자가 붙지만 적금은 매달 조금씩 넣기 때문에 실제로 이자가 붙는 기간이 짧습니다. 그래서 같은 이자를 받으려면 적금 금리가 더 높아야 합니다. 1년 동안 매달 같은 금액을 넣는 적금의 평균 잔액은 전체 금액의 절반 정도라 계산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예금이 5퍼센트라면 적금은 단순 계산으로 약 두 배 가까운 10퍼센트 정도가 돼야 비슷한 이자가 나옵니다. 은행마다 세금이나 복리 적용 방식이 달라서 실제 수치는 조금씩 다르게 나올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예금의 경우 자산을 한번에 맞겨서 계약된 기간동안 돈을 찾지않고 운영을 하는 것이고 적금의 경우 돈을 주기적으로 계약한 기간동안 납입하는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따라서 적금의 경우에는 주기적으로 돈을 납입하는 것이라 가장 먼저 납입한 돈에 대한 이자와 가장 최근에 납입한 돈에 대한 이자가 다르다고 볼수 있어, 이를 종합해보면 예금의 이자와 적금의 이자가 동일하다면 결국 예금의 이자를 통해 받을 수 있는 이자금이 더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100만원을 예시로 들고 그리고 1년이라는 기준단위 그리고 적금 매월 균등하게 적립한다는 전제조건을 같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적금은 예금과 달리 매월 적립해서 적립하기 때문에 마지막 월에 납입하는 적립액은 1/12 만큼 매우 낮은 이자적수일만 적용되는 구조입니다 즉 이런 구조로 인해서 적금이 예금보다 불리한것입니다

    그렇다면 똑같은 이자금액을 받기 위해서는 예금의 금리보다 84.6%의 금리가 더 높아야 합니다. 즉 1.846배가 높아야 하고 만약 정기예금이자율이 4%라고 한다면 똑같은 이자금액 수취를 위해서는 적금의 금리가 7.38%의 금리이어야 동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예금은 백만원으 1년간 5% 이율로 맡기면 5만원의 이자가 발생합니다. 같은 금액을 매달 적금으로 나눠 넣을 경우, 매월 이자가 붙어 평균 이자 기간이 짧기 때문에 같은 5망눤 이자를 얻으려면 적금 이율이 약 10.9%여야 합니다. 즉, 적금의 실제 수익률은 예금에 비해 금리 효과가 낮으므로, 동일한 이자액을 원할 경우 예금 이율의 약 두 배 이상 적금 이율이 필요합니다.

  • 예금은 100만원을 한번에 예치시키고 그에 대한 이자를 받는 것이고

    적금으로 100만원이 되기 위해서는 100만원 / 12개월 = 83,333원, 매월 83,333원씩 적립을 하고 매월 그 잔액에 대해서 이자를 받는 것입니다.

    예금이율이 5%라면 적금 이율은 10% 정도가 되어야 같은 금액의 이자소득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예금과 적금의 이율 차이를 계산하려면 이자 계산 방식의 차이를 고려해야 합니다.

    예금은 만기 시 원금 전액에 이율을 적용(단리: 100만 원 × 5% = 5만 원 이자).

    적금은 매달 납입분에 대해 기간별 이자를 계산합니다.

    1년 만기, 월 8.33만 원 납입 적금(총 100만 원)으로 같은 5만 원 이자를 얻으려면 적금 이율 약 5.95% 필요하고,

    적금의 경우는 월 불입한 금액을 누적으로 이자계산을 하기 때문에 이율이 높아야 일반정기예금이자율과 같은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예로 정기예금은 이자율이 5% 일 때, 100만원을 한번에 예치하고 1년뒤 이자 5만원을 받고,

    정기적금은 이자율이 5.95% 를 받아야 매월 83,300원을 납부해야 1년뒤 이자 5만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예금은 목돈을 1년간 맡기므로 전액이 1년간 이자로 계산됩니다.

    적금은 매월 나눠서 넣기 때문에 평균 예치 기간이 약 6개월이 되어 같은 이자를 받으려면 더 높은 금리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예금금리가 5%일때는 같은 이자를 받기위해서는 적금금리는 약10%가 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