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양육·훈육

든든한소쩍새224
든든한소쩍새224

부정적으로 대답을 하는 아이 어떻게 지도하면 좋을까요?

평소에 아이와 대화를 하다보면 아이가

습관적으로 생각도 하기전에 '아니'라는

부정적인 말을 달고 시작하는데

어떻게 하면 옳바르고 긍정적인 대화로

지도할수가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부정적 언어 습관은 발달 과정의 자연스러운 단계로 연령별로 그 의미가 조금씩 다릅니다.

    주변 사람들의 언어 습관을 의미 없이 따라하기도 하며

    강한 부정으로 자신의 의견을 표출하고픈 겅력한 의지이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항상 긍정적으로 생각하게 하고

    사물을 볼 때도 좋은 점을 생각하게 하는

    교육을 해보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부정적으로 말을 하면 이에 대한 제지와 더불어서

    아이의 놀이 등을 제한하여 이를 고쳐주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있어 부정적인 표현을 자주하는것은 그만큼

    자존감이 부족한 결과일 수 있습니다. 자신에 대해서 잘하거나

    할 자신이 없다보니 부정적인 말이나 행동으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반응으로

    보여질 수 있습니다. 아이와 대화시 자존감을 높여줄 수 있도록 칭찬을 많이 해주시면서

    아이의 자존감을 높여주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부정적인 대답을 한다고 거기에 대해서 부모님이 크게 반응을 하지 않아야 합니다

    아이들은 관심 받을만한 말들을 습관적으로 하는 경향이 있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평소에 욕구 불만이 있어서 그럴 수 있답니다

    아이의 활동을 살펴보고 일상생활에서 힘든 점이나 스트레스를 받는 일이 있는지 살펴 보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임경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아이에게 질문을 하실때 긍정적인 대답이 나올 수 있도록 해보셔요.

    아이가 단답형으로 '아니'라고 대답하려면 질문도 대답하기 쉽게 하게 되거든요.

    그리고 부모님도 아이와 대화하고 대답할때 부정적인 단어보다는 긍정적인 단어를 사용하면 도움이 되구요.

  •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부정적인 표현에 부모님은 긍정적인 관심으로 대답해주세요. 그리고 아이가 원하는 것에 대해 생각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고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게 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러한 부분은 아이와 이야기하여서 교육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아니라는 것을 무분별하게쓰는것은 좋지 않고 필요한 표현이있을땐 그에 맞게 하도록 교육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와 대화를 하면서 아이가 부정적인 대답을 한다면 그 즉시 아니 라는 대답은 옳지 않아 라고 단호하게 말을 해주세요.

    그리고 왜 아니 라는 부정적인 단어가 왜 옳지 않은지 그 이유에 대해 설명을 해주도록 하세요.

    아이에게 넌 할 수 있어, 너라면 충분히 잘 할 거야 라는 긍정적인 메세지를 전달해 주시면서 아이의 생각을 변화 시켜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부모님들의 관심을 받고 싶어서 부정적인 말하기를 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아이의 말들에 화내시거나 혼을 내시면서 과잉반응을 보이게되면 오히려 해당 행동을 부정적 강화시킬 수 있으니 따뜻한 말투로 감정을 달래주시고 공감해주시면서 보듬어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승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부정적인 표현에 부모님은 긍정적인 관심으로 대답해주세요.

    아이의 감정을 존중해주는 자세로 취해주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일상생활 속에서 보여주는 부모님의 짜증이 가득한 표정, 잦은 한숨 등은 아이에게 불안감을 전해줄 수 있어요. 무심코 내뱉는 말이나 부정적인 태도를 줄이고 긍정적인 시각으로 아이를 바라보며 아름다운 말을 쓰는 것이 중요합니다.

    어떤 점이 싫은지, 왜 안 한다고 하는지 물으며 관심을 보여주세요. 그다음 아이가 어떻게 하고 싶은지, 생각한 것을 솔직하게 털어놓을 수 있게 유도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