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생각하며돌아가는무언가
생각하며돌아가는무언가

왜 액체 질소는 상온에서 쉽게 기체로 변하는데, 드라이아이스는 기체로 승화될 뿐 액체 상태를 거치지 않을까요?

상온에서 물질의 상 변화에 대한 고체와 액체의 특성을 비교하며 승화 현상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서 질문 합니다. 무슨 작용이 적용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충흔 전문가입니다.

    액체 질소와 드라이아이스의 상 변화는 각각의 물질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상온에서 액체 질소는 기화하여 기체로 변합니다. 이는 열 전달 원리에 의해 액체 질소가 열을 흡수하면서 기체 상태로 변하는 과정입니다.

    드라이아이스는 고체 상태의 이산화탄소로, 상온에서 액체 상태를 거치지 않고 직접 기체로 승화합니다. 이는 드라이아이스가 대기압에서 고체 상태에서 기체 상태로 바로 전환되는 특성 때문입니다.

    이러한 상 변화는 물질의 화학적 구조와 물리적 특성에 의해 결정됩니다. 드라이아이스의 경우, 이산화탄소가 특정 온도와 압력 조건에서 고체에서 기체로 직접 전환되기 때문에 액체 상태를 거치지 않으며, 이는 승화라는 현상으로 설명됩니다. 승화는 고체가 직접 기체로 변하는 과정으로, 물질의 분자 간 결합 에너지와 외부 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박사입니다.

    드라이 아이스는 이산화 탄소를 고압 저온에서 응축하여 만든 것입니다.

    그래서 기체임에도 고체의 형태인것이고 원래 기체이기 때문에 액체를 거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