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

고려시대 흑창과 의창은 어떤 차이가 있나요?

고려시대 사회제도로 흑창과 의창이 있는데

두개가 비슷한 것 같습니다

그런데 흑창은 태조, 의창은 성종 때 설치했으니

어느정도의 차이점이 있을 것 같은데

흑창과 의창은 어떤 차이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흑창은 곡식을 빌려주었다가 추수기에 상환하도록 하는 진대기관으로 986년에 그 기금을 미 1만석으로 증가시키면서 명칭을 의창으로 바꾸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흑창 > 고려 초에 설치되었던 기관으로 가난한 백성에게 곡식을 빌려주었다가 추수한 뒤 갚도록 하였습니다. 고구려의 진대법과 비슷합니다.’

    의창 > 굶주린 백성들은 귀족들에게 높은 아이로 곡식을 빌리기도 했는데 만약 빌린 곡식을 갚지 못하면 노비가 되어야 했습니다. 그렇게 노비가 되는 사람이 많아지면 문제가 생겨나기 시작하는데.

    이 문제점은 바로 농사지을 사람이 적어지고 동시에 병사가 될 사람도 줄어든다 라는 것입니다. 즉, 나라의 재정과 국방에 문제가 생기는 것이지요.

    이런 점을 해결하기 위해 나라에서 봄에 곡식을 빌려주었다가 가을에 갚도록 실시한 빈민 구제 제도가 만들어진 것인데요, 성종때는 흑창에서 빌려주면 곡식에 1만 석을 더 보충해 의창 이라고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흑창(黑倉)은 궁민(窮民)에게 곡식을 빌려주었다가 추수기에 상환하도록 하는 진대기관으로, 고구려의 진대법(賑貸法)과 유사한 제도였는데 918년(태조 1) 8월 흑창 안에 호랑이가 들어왔다는 기록으로 보아 고려 태조 즉위 후 곧 설치된 것으로 보입니다. 986년(성종 5) 그 기금을 쌀 1만석으로 증가시키는 한편 명칭도 의창(義倉)으로 바꾸었다고 합니다.

    의창은 흑창보다 더 세분화 되어서 아무 대가없이 무상으로 나누어 주는 경우[진제(賑濟)와 가을에 갚을 것을 전제로 분급하는 경우가 있었다고 합니다. 무상으로 나누어 줄 때에는 사람들이 많이 왕래하는 교통의 중심지에 진제장(賑濟場)을 설치하여 죽이나 밥 등 음식물을 나누어주었고, 가을에 갚을 것을 전제로 곡식을 빌려 줄 경우 이식(利息)없이 원곡(元穀)만 되돌려 받는 것이 원칙이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안경국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두 창은 사용 목적과 형태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고려시대의 군사 전략과 전투 방식에 따라 각각 사용되었습니다. 흑창은 기마병을 상대로 방패를 뚫고 상대를 죽이는 데에 특화되어 있었고, 의창은 보병들이 사용하여 투창과 접전 전투에 능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