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부동산

산들사랑
산들사랑

요즘 무량판구조라고 매스컴에서 많이 다루고 있는데 이건 무엇일까요?

요즘 매스컴에서 떠들고 있는 무량판 구조 순살아파트는 어떻게 건설되고 있는지?이렇게 하면 왜 안되는지 설명해 주실분 계시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무량판 구조는

      기둥식 구조에서 보 없이 기둥만 슬래브를 지탱하는 구조입니다. 층간소음이 사회적 문제로 자리 잡자 벽식보다 층간소음에 강하고, 기둥식보다 시공비가 저렴한 무량판이 현재 대세로 잡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하중을 버티는 보가 없기 때문에. 설계를 대충하면 무너지기가 쉽다는점 입니다. 일본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구조 입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무량판 구조자체는 장단점이 있고 안전한 건축공법으로 인정받은 방식입니다. 공간효율도 높고 층간소음도 적지만 공사비가 비싸고 내력벽과 보가 없어 수평 하중에 취약한 단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무량판 구조를 설계대로 잘 만들면 사실 지금과 같은 문제가 발생되지 않았겠지만 설계와 다르게 철근등의 일부를 적게 넣어 건축을 진행하였기에 안전성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현실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무량판 구조는 하중을 지탱하는 수평 기둥인 보없이 위층 수평 구조인 슬래브를 기둥이 지탱하도록 이루어진 건물 구조를 말합니다.


      무량판 구조는 대들보 자재 두께만큼의 높이를 시공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층고가 높고 내력벽이 없어 공간 효율성이 높은 등 공사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무량판 구조의 경우 기둥과 맞닿는 부분에 하중이 집중되기 때문에 슬래브가 뚫리는 것을 막기 위해 수직하중을 지지해야 하는 기둥에 보강 철근을 반드시 넣어야 합니다.


      만약 이러한 보강 철근이 제대로 시공되지 않을 경우 기둥이 슬래브를 뚫는 '펀칭' 현상과 함께 한순간에 무너질 위험성이 있으며 실제로 제대로 시공하지 않은 무량판 구조 건물 사고의 대표적인 사례로는 1995년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가 있는데, 이는 무량판 구조의 약점을 보강하지 않아 발생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무량판이란 기둥에다 바로 상판을 얹는 방식으로 보강근을 제대로 안 넣으면 기둥이 바닥과 분리되며 붕괴됩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