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주식이 250만원 이상 수익 중일경우 양도소득세는?
해외 주식의 수익이 250만원 이상되나 현재 팔고 있지 않고 보유중인 경우라면 양도소득세를 내야하는 것인가요?? 양도소득세를 줄이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올해 연말까지 기준으로 손익합산하여 해외주식 수익이 250만원을 초과한다면 초과한 금액에 대하여
22%의 세금을 징수하게 됩니다.
이 양도소득세를 줄이기 위한 방법은 투자하고 있는 자산중에 손실을 보고 있는 해외주식을 매도하여
손익합산을 250만원 이하로 내리는 방법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해외주식 수익이 250만원이 넘어도
이를 수익 실현을 하여야 세금을 내는 것으로
단순하게 보유중이라면 양도소득세를
납부하지 않습니다.
해외 주식의 수익이 250만 원을 넘더라도 주식을 매도하지 않고 보유 중이라면 양도소득세는 부과되지 않습니다.
양도소득세는 주식을 매도했을 때 발생하는 세금으로 연간 250만 원까지는 공제되며 그 이상의 수익에 대해서는 22%의 세율이 적용됩니다.
세금을 줄이는 방법으로는 250만 원 공제를 활용해 수익을 나누어 매도하거나, 손실을 본 주식을 함께 매도해 이익과 상계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또한 거래 시점을 분산해 여러 해에 걸쳐 매도하면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는 해외 주식을 매매하고 나서 수익이 발생하면 250만 원을 공제한 후 그 이상의 금액에 대해 22% 세율(지방세 포함)로 과세를 하고 있는데요.
최근 여야가 금투세 법안 개정을 놓고 줄다리기를 하고 있는데, 추가적인 금융개혁 방안으로 ISA 계좌를 통해 해외 주식에 투자하면 세금을 안내도 되는 내용도 있어서, 해당 법안이 통과되면 ISA계좌로 해외주식 투자를 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게 됐습니다.
양도소득세는 실현수익에 대해 과세합니다.
보유중인 주식은 아직 실현된 수익이 아니므로 과세 대상이 아닙니다.
양도세를 줄이기 위해서는 가능하다면 올해 250만원 한도로 실현 수익을 맞추고 내년에 또 일부 수익실현하고 하시면 되는데 수익이 클 경우는 세금은 크게 신경쓰지 마시고 원하는 타이밍에 수익을 보는게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해외 주식이 250만원 이상 수익이면 양도소득세가 발생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해외 주식이 250만원 이상 수익이 나면 양도소득세가 발생이 됩니다.
다만, 팔지 않고 보유중이라면 아무런 소득세가 발생하지 않기에
예를 들어 12월이라면 12월에 반을 팔고, 1월에 다시 반을 팔면 소득세를 피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해외 주식에서 250만 원 이상의 수익이 발생하더라도 실제로 그 주식을 매도하지 않는 한 양도소득세는 부과되지 않습니다. 양도소득세는 주식을 매도하여 실질적으로 이익이 발생할 때만 적용되기 때문입니다. 양도소득세를 줄이는 방법으로는 장기 보유하여 세금 혜택을 받거나 손실이 발생한 주식을 함께 매도하여 이익을 상쇄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하지만 250만 원 이상의 수익이 발생하면 매도 시점에 양도소득세 부과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매도를 하지 않았다면 250만원 이상의 수익 중일경우 양도소득세는 내지 않습니다.
실제로 매도를 하여 수익실현 된 금액에 대해서만 세금이 부여 됩니다.
양도소득세를 줄이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예를 들어 A라는 주식이 260만원 수익가능하고, B라는 주식이 -20만원 손실중이라면
양도소득세 산정 기간 중에 A주식을 260만원 익절 후 B 주식을 -12만원 정도 손절 합니다.
그럼 실제로 248만원 수익이기 때문에 양도세를 내지 않습니다.
그리고 B주식을 다시 매수 하면 됩니다.
참고가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