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밤하늘의오로라
밤하늘의오로라

RFLP와 VNTR 분석은 어떤 점에서 유사하고, 어떤 점에서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제한효소를 처리한 후 전기영동 시키는 제한효소 절편 길이 다형성(RFLP)과 VNTR 분석은 어떤 점에서 유사하고, 어떤 점에서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두 기법모두 개인간 DNA서열의 차이를분석하고 지문처럼활용한다는점이 유사합니다.

    다만 차이점으로 RFLP는 돌연변이나 염기서열차이에의한 절편길이변화에 초점을두고

    VNTR은 반복되는 영역의 반복횟수차이를 이용하게됩니다.

    감사합니다.

  • 우선 RFLP와 VNTR 분석 모두 DNA의 길이 차이를 이용해 개인을 식별하는 유전학적 기술입니다.

    두 기술 모두 DNA를 분리하고 전기영동을 통해 절편을 분리하며, 최종적으로 특정 부위의 밴드 패턴을 시각적으로 확인한다는 점에서는 분명 비슷한 기술입니다.

    그러나 두 기술의 다형성 원인에 큰 차이가 있습니다.

    RFLP는 DNA 염기서열 내 제한효소 인식 부위의 유무나 변이 때문에 절편의 길이가 달라지는 현상을 이용합니다. 즉, DNA를 제한효소로 처리하여 절편을 만든 후 분석합니다.

    반면, VNTR 분석은 DNA 염기서열에 존재하는 특정 반복 서열의 개수 차이를 이용합니다. 이 반복 서열의 개수는 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PCR을 통해 이 부위를 증폭하면 절편의 길이가 달라집니다.

    그래서 VNTR은 PCR을 사용하여 더 적은 양의 DNA로도 빠르고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네, 우선 질문해주신 것처럼 RFLP와 VNTR 분석은 모두 DNA 상의 개체 간 변이를 탐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전적 구별이나 계통 연구, 법의학적 분석에 활용되는 기법이라는 점에서 유사합니다. 일단 둘 다 DNA 서열 상의 삽입, 결실, 중복 등의 횟수 차이로 인해 절편 길이나 밴드 패턴이 달라지며, 이를 전기영동을 통해 시각화합니다. 또한 특정한 유전자 자리에서 개인별 차이가 뚜렷이 나타나므로, 개인 식별, 친자 확인, 집단 간 유전적 유사성 분석 등에 응용될 수 있으며, DNA를 제한효소 처리 후 겔 전기영동을 수행하여 절편 크기를 비교한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RFLP는 제한효소 인식 서열의 변이 때문에 절편의 길이가 달라지는 것으로 즉, 서열 자체의 변화가 주요 원인입니다. 반면에 동일한 염기서열 단위가 반복되는 횟수가 다르기 때문에 절편의 길이가 달라지는 것이며 이 경우는 반복수 변이가 핵심입니다. 또한 RFLP는 변이가 제한효소 절단 부위에서만 일어나므로 다형성이 상대적으로 적고, 분해능도 낮은데요, 반면에 VNTR은 반복 횟수의 변화 폭이 크기 때문에 다형성이 높아, 개체 간 식별력도 훨씬 뛰어납니다. 게다가 많은 양의 DNA가 필요한 RFLP와는 달리 VNTR은 PCR 기법을 이용해 소량의 DNA로도 증폭할 수 있고, 개인별 구별력이 뛰어나 현재 법의학, 유전학, 족보 분석 등에서 더 활발히 쓰입니다. 감사합니다.

  • RFLP와 VNTR 분석은 DNA의 특정 부위에서 개인 간의 유전적 차이를 탐지한다는 점에서 유사합니다. 두 분석 모두 DNA를 절단하여 전기영동으로 크기별로 분리하고, 특정 DNA 탐침(probe)을 사용하여 표지된 조각의 길이를 확인합니다. 차이점은 RFLP가 제한 효소 인식 부위의 유무로 인한 DNA 절편 길이의 차이를 이용하는 반면, VNTR 분석은 제한 효소 인식 부위가 아닌 반복 서열의 수(VNTR)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절편 길이의 다형성을 이용한다는 점입니다. 이로 인해 RFLP는 VNTR보다 더 많은 양의 DNA를 필요로 하고 분석 과정이 복잡한 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