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까칠한사랑새8
까칠한사랑새824.01.23

호구라는 단어는 어디서 나온 표현인가요?

호구는 한자어인가요? 어디서 나온 표현인가요? 늬앙스로 그 뜻을 알고 있기는한데, 원래 부정적인 뜻의 표현이었나요?

호구의 뜻이 뭐야?라고 묻는다면 뭐라고 설명해야할지 모르겠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호구는 남을 잘 믿고 순진하며, 쉽게 속고 당하는 사람으로 이는 바둑에서 유래되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4.01.23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호구라는 말이 어디에서 나왔는지 그 어원이 궁금하군요.

    '호구(虎口)'는 원래 '호랑이의 입(호구)'을 뜻하는 말이지만, 그 의미가 확장되어 지금은 평소 순진하거나 멍청하거나 어수룩하다는 뜻으로 많이 사용합니다. “이런 호구, 어떻게 그런 판단을 내렸냐?”

    지금은 우리나라에서 볼 수 없지만 호랑이는 일제때까지만 해도 우리나라에 서 자생한 맹수입니다. 따라서 호랑이가 관련된 속담을 비롯 생활어를 많이 찾 을 수 있다. 호랑이와 쌍벽을 이루는 같은 고양이과 맹수 사자는 우리나라 자생 동물이 아니어서 생활어가 생소하나 중국 일부 지방에서 사자를 경험 한 사람들이 있어 사자와 관련된 말은 중국에서는 나타나고 있습니다.

    호구는 바둑에서 유래되어 생활어가 된 말입니다. 자충수, 묘수 등 바둑에서 유래된 생활어가 꽤 있다. 호구는 호랑이의 입이란 뜻이다. 바둑에서 아다리란 말이 있습니다. 상대의 돌에 둘러쌓여 빠져 나올 수 없는 위기 상황입니다. 상대 바둑 알 석점이 위, 양쪽 옆에 3점이 있으면 호랑이가 입을 벌리고 먹이를 낚아채려 는 모습이라, 호랑이 입을 뜻하는 호구란 말이 생겼습니다. 호구에 들어가면 그냥 먹잇감이 된다. 그것을 알고도 들어가면 멍청하다란 의미로 호구라고 한다. 요 즘 호갱이란 말이 유행입니다. 호구와 고객을 줄여 부르는 말이다. 손님을 부르 는 호객과 발음이 비슷하여 호갱이란 말을 씁니다.

    생활을 하면서 신중한 판단을 내려 행동해야할 많은 상황에 직면하게 됩니다. 이 때 호구잡힐 행동은 하지 말아야 합니다. 냉철한 지혜와 따스한 마음은 나를 영리하게 만들어 준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