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아프로아프로
아프로아프로

무슨 행사로 인해 측정되는 경제 효과는 어떻게 산출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최근 무더위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잼버리도 시작 전에 6,000억의 경제 효과를 기대했다고 하는데

이런 행사로 인해 유발되는 경제 효과는 어떻게 측정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Slow but steady
      Slow but steady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어떠한 행사등으로 경제적 파급 효과를 산출 하는 방법으로는 산업 연관 분석법과 변이 할당 분석법등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분석법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기존의 비슷한 규모의 행사를 다른 나라에서 한 경우가 있을 때는 그러한 자료를 가지고 유추 해서 인구수와 규모 등을 놓고 유추해서 대략적으로 산출 하기도 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과거 타국이나 타지역 행사규모에 이번 행사 규모 인원 기간등을 비교하나 어디까지나 추측입니다. 대부분 괴도하게 계산되고 안맞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성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다른 행사 사례의 경제적 효과 등을 참고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방문객 1인당 매출액, 부가가치 등의 요소를 고려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가 행사에 따른 경제효과는 다음의 계산으로 전망합니다.


      경제 효과 = (참여 인원 * 지출 금액) + (파급 효과)


      참여 인원은 행사에 직접 참여하는 인원을 의미하고, 지출 금액은 행사에 참여한 사람들이 행사와 관련하여 지출하는 금액을 의미합니다. 파급 효과는 행사가 지역 경제에 미치는 간접적인 효과를 의미합니다.


      예) 축구 월드컵 개최

      . 참여 인원: 전 세계에서 축구 경기를 관람하기 위해 방문한 관광객의 수

      . 지출 금액: 관광객들의 숙박, 음식, 쇼핑, 관광 등 다양한 활동에 지출한 금액

      . 파급 효과: 축구 월드컵 개최로 인해 발생하는 일자리 창출, 지역 경제 활성화, 국가 이미지 제고 등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제적 행사 (월드컵, 올림픽, 엑스포 등) 으로 인해 경제 효과가 일어난다고 하는데

      이는 그로 인해 투입되는 인프라 구축에 따른 비용과 더불어서

      해외에서 행사에 참여하기 위해 찾아오는 외국인들이 들여올 관광 수입과

      행사 자체로 인해서 높아지는 나라 혹은 단체의 인지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서

      얼마의 경제 효과가 있다고 하는 것입니다.

      단, 이런 경제 효과 산출은 매우 긍정적인 면이 포함되었기에 이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기에는 어려운 점들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잼버리와 같은 행사의 경제효과를 측정하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경제적 효과를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는 직접적인 경제적 효과와 간접적인 경제적 효과를 모두 고려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경제적 효과 측정 모델은 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생산, 고용, 부가가치 및 지방세수 승수를 도출하여 효과를 분석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적파급효과에서 개최국가, 개최지역, 또는 개최국의 지원기업 등의 대외 이미지 제고를 통한 수출증대, 관광산업 진흥, 스포츠 산업 발전 등의 효과를 볼 때

      현재 3천억원 규모의 투자로 많은 외국인들이 (130여개국)이 참여 했고 ,좀 극으로 말하면 130여개국 외국인들 중 어느 한명이라도

      이번 행사에 한국에 대해 호감이 있었을까? 생각해 본다면 투자금액도 마이너스고 관광산업도 마이너스로 보입니다

      k드라마를 보면 근무시간에 편하게 통화하고 사적일을 보며, 교통체증도 없고 다 잘생기고 이쁘지만, 그 생각만 가지고 부푼꿈을 갖고 온

      젊은 세대들이 과연 우리나라를 어떻게 볼지, 고작 공연하나보려고 돈들이고 수십시간 비행기 타고 와서 바가지 요금에 극한체험을 한게 어떤 좋은 느낌으로 다시 오고 싶은 나라가 될까요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통 경제효과를 산출하게 되는것은 해당 행사를 하게 되는 경우에 참가하게 되는 인원과 보통 사용하게 되는 비용을 추산하고 이외에 부가적인 국가에 대한 이미지와 국제 행사를 하기 위해 투입되어진 시설물들의 교체와 인건비등을 계산하여서 차감하는 방식으로 추산을 하게 됩니다. 이는 과거의 국제 행사내용을 참고하여 추산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