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우상향이다 우하향이다라는건 무슨봉 기준인가요?

월봉으로보면 하락이고 주본은 상향이고 서로다른데 우상향 우하향의 기쥰은 몇분봉을 기준으로 보고 그렇게 판단하는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이대길 경제전문가
    이대길 경제전문가
    메리츠화재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상향, 우하향은 주로 차트의 기간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으며, 보통 1분봉에서 1시간봉까지의 단기 차트에서는 빠른 변동을 기준으로, 일봉이나 주봉에서는 장기적인 추세를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하루중 우상향을 판단할 때는 분봉을 보지만 일반적인 우상향을 하는중이나 우하향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일봉으로 체크합니다

    • 또한 일봉기준으로 5일 이평선과 20일이평선이 어떻게 흘러가는지를 보면 방향을 알 수 있습니다

    • 꼭 상향이나 하향만 있는 것은 아니고 혼재가 있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시호정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상향과 우하향으로 판단하는 시간봉의 기준은

    보통 1분봉, 5분봉, 1시간봉, 4시간봉, 일봉, 주봉, 월봉으로 크게 보고 있습니다.

    어떠한 시간봉을 보고 우상향인지 우하향일지를 판단하는건

    투자자의 투자 성격마다 상이하니 이를 참고하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흔히말하는 우상향 하향을 말하는것은 장기추세를 말하는것이지 분봉기준으로 이야기는 잘 하지 않습니다 스캘핑은 호가와 수급을 기준으로 보되 분봉은 참고용도이지 이를 보고 추세적으로 우상향 하향의 추세가 잡혔다고 하지 않습니다

    즉 최소 일봉기준으로 1년간의 움직임이나 최소 반기 분기 기준으로 추세를 보며 장기 추세판단에서 우상향 하향하고 있다고 언급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상향과 우하향의 기본적인 추세 흐름을 읽는 것은 장기투자냐 단기투자냐에 따라 다른데요. 만약 장기투자라면 최소한 주봉이나 월봉이 기준이되고, 단기투자는 1분봉, 5분봉, 10분봉을 보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월봉(Monthly chart)과 주봉(Weekly chart)의 하락/상승 트렌드가 서로 다른 경우, 어떤 기준으로 판단할지는 사용자의 거래 스타일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여러 시간대의 차트를 참고하여 종합적인 판단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상향(Uptrend)은 가격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계속 상승하는 패턴으로, 주로 높은 시간대(예: 월봉, 주봉)에서 나타나는 추세가 강한 신호로 여겨집니다.

    우하향(Downtrend)은 가격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하락하는 패턴으로, 월봉이나 주봉 차트에서 확인될 때 더 확실한 신뢰를 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차트에서 우상향 우하향 상승추세 하락추세를 말할때 보통 말을 하는 사람이 몇분봉 혹은 몇시간봉 혹은 일봉 주봉 월봉 등 기준 봉을 말을해주는게 맞습니다 딱 정해진 기준이라는게 없는 문제니까요

    그래서 차트 분석해주는 분들 말할때 일봉 기준 우상향 중이다 4시간 봉 기준 우하향 중이다 이런식으로 말을 해줍니다

    그럼 오늘도 성공투자 하세요!!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상향이다 우하향이다 하는 것은 이평선 의 위치를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이평선이 증가하면 우상향, 이평선이 하락하면 우하향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 우상향과 우하향은 보는 기준에 따라 다릅니다.

    말씀하신대로 월봉으로 봤을때 하락이면 월봉 기준 우하향이라고 말하고 그 안에서 주봉 기준 상승으면 주봉 기준으로 우상향한다고 말합니다.

    아무래도 보는 기간이 짧을수록 단기적인 추세를 말하는게 되겠고 긴 기간을 볼수록 장기적인 추세를 말하는게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상향이다 우하향이다 하는 것의 기준에 대한 내용입니다.

    대략적으로 이렇게 장기간 보는 것은

    일봉, 주봉, 월봉 정도를 기준으로 살펴 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