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질문만판다곰
질문만판다곰

최근 발표 된 소비자 물가 지수가 높은 거 같은데요

고물가 현상의 주요 원인은 무엇이며 언제쯤 안정화 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우리같은 서민들은 고물가 시대에 어떤 전략을 짜야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고물가는 공급량 부족에 따른 원자재 및 에너지 가격이 상승하는 경우에 나타나거나 수요 급증에 의해서 나타날수 있습니다. 보통은 공급량 부족이 더 큰 원인으로 코로나 시절처럼 공급망이 무너지거나, 전쟁 등으로 인해서 석유 공급량 등이 감소하는 경우 발생할수 있습니다. 한편 돈을 너무 많이 찍어내서 유동성 공급 과잉의 이유로 발생할수도 있습니다.

    서민들은 가계 부채를 관리하고 고정비를 점검하여 지출을 최소화 할수 있어야합니다. 또한 고물가 지속 현상에 대비하기 위해 비상금 및 현금을 확보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소비자 물가 지수가 2%대를 지속하고 있는데요. 이럴때엔 소액이지만 꾸준히 발생하는 구독경제 서비스를 재점검 해서 사용하지 않는 것은 줄이고, 가급적 가치 소비(사치 지양), 그리고 가계부를 써서 새는 돈이 없는지 점검하면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발표된 소비자 물가 지수가 높게 느껴지시는 것은 현재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고물가 현상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글로벌 공급망이 제대로 회복되지 못하면서 생산 차질과 물류 병목 현상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는 원자재 가격 상승과 제품 가격 인상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특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는 에너지 및 곡물 가격 상승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습니다. 팬데믹 이후 각국의 경기 부양책으로 인해 풀린 유동성이 소비 심리를 자극하면서 전반적인 수요가 증가했습니다. 공급이 제한된 상황에서 수요가 늘어나니 가격이 상승하는 것은 당연한 결과입니다. 국제 유가, 곡물 가격, 금속 가격 등 주요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서 이를 원료로 사용하는 제품들의 가격 인상을 야기하고 있습니다. 특히 에너지 가격 상승은 운송비 상승으로 이어져 연쇄적인 물가 상승을 불러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 같은 서민들은 고물가 시대에 어떤 전략이 필요한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물가가 가파르게 오르고 있고 멈추지 않을 것처럼 보여집니다.

    이런 경우 우리는 결국 다시 한번 더 소비 패턴을 분석하고

    불필요한 소비를 멈춰야 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고물가는 환율상승에 따른 수입물가 상승이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또한 코로나 시절 초저금리로 인상되었던 물긴가 경기침체로 안정화되지 못한 상황입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소비자물가지수는 소비자가 물건을 무매하면서 느끼는 물가에 대한 체감 정도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물가지수가 올라간 이유는 다양하겠지만, 일단 원자재나 원재료의 가격상승이 주요한 이유가 될 수 잇습니다. 시작점이 비싸다는 말은 최종점도 비싸다는 말과 같습니다. 다음으로 수요와 공급에 대한 법칙에서 수요가 증가하면 가격이 오를 수 밖에 없습니다. 경쟁으로 인해서요. 이러한 원인으로 인해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은 점차적으로 증가한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