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속에 투명한 물집이 왜 생기는건가요?
오전에 입속에 투명한 물집이 생겻다가 밤늦게서야 터진건지 갑자기 사그라 들었어요 갑자기 생겻다가 사라져서 왜그런가 궁굼하기도 해서요 일시적인 현상이엇ㅅ던건지 아니면 무슨 문제가 있었던건지 궁굼하네요 별거 아니라고 넘기기엔 한번씩 생겼었던적이 있었어가지구요..도움좀주세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피부과 전문의 노동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점막은 보통 피부에 비해서 외부 자극에 매우 약합니다.
때문에 뜨거운 음식물에 약간 화상을 입었다거나, 찔렸을 경우 점막 안쪽으로 출혈이나 체액이 일시적으로 나와 물집을 형성하는 경우가 자주 있습니다.
저절로 흡수되며, 건강상에 문제가 있는 경우는 잘 없으니 안심하고 지켜보세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전성화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입속에 투명한 물집이 생겼다 없어졌다 해서 걱정되시는군요.
입 속 연조직은 구강상피로 이루어진 조직이므로 외상이나 알러지 자극 , 전신질환 등에 의해 물집이 생길 수 있습니다.
물집의 크기, 색깔, 양상을 보고 판단해야 하는 부분이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명을 말씀해드리기는 어렵지만 외상이나 자극에 의해 생겼다 없어진 것이라면 정상적인 회복반응이므로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반복적으로 물집이 생겼다 없어졌다를 반복해서 걱정이 되신다면 가까운 치과에 가서 검사받아보시기 권유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적어주신 증상으로 보아 아프타성 구내염의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보통 몸이 피곤하시거나 이로 깨무는 등의 기계적 자극이 있을시 이러한 구내염이 생깁니다. 자주 생기며 여러 곳에 생긴다면 베체트 질환과 같은 자가면역 질환도 의심해봐야 합니다.
충분한 수분섭취와 휴식이 필요하며, 일주뒤에도 지속이 된다면 근처 이비인후과 진료보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자주 이로 깨무는 증상이 있다면 치과에 내원하셔서 상담 받아보시고 교정 등을 고려해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임태형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구내염일 확률이 있어보이십니다.
구내염의 원인
바이러스성, 세균성 등에 의해 생깁니다.
또한 염증질환으로 바체트병이 있는데 구내염과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므로 주의하셔야합니다.
구내염의 치료
일단 일반 내과나, 치과대학병원 구강내과등에 내원하셔서 진단을 받으셔야합니다.
또한, 비타민c를 잘 챙겨드셔야하며,
항생제 연고를 발라주어야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주경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구내염의 가능성이 있으니 병원에 내원해서 진단을 받아보시는것이 좋습니다.
구내염의 원인
구내염의 원인으 다양합니다.
보통 단순포진은 헤르페스 바이러스에 의한 것이며,
피로, 면역기능 감소 등에 의해 생기게 됩니다.
구내염의 치료
입안을 깨끗하게 하시는것이 중요하며,
구내염 전용 도포제를 사용하시는것이 좋습니다.
또한, 구내염의 경우 전신적인 컨디션에 의한 경우가 많으니, 과로를 피하셔야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증상만으로는 정확한 진단이 어려우며, 실제로 구강내를 봐야 정확한 진단이 가능합니다.
다만 질문주신 내용으로 보아 점액류(mucocle)의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점액류는 소타액선(침샘)의 도관이 파괴되면서 점액 물질이 주변 조직으로 유출되면서 물집모양으로 형성되게 되는 병소입니다.
주로 씹히거나, 찔리는 등의 국소적인 외상으로 도관이 파괴되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별한 치료가 없더라도 물집 모양의 병소가 터지면서 자연치유되는 경우가 많지만 해당 도관이 파괴된 상태로 재발하는 경우가 많으며, 계속 재발하는 경우에는 수술적으로 병소 주변의 소타액선을 같이 제거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정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말씀하신것은 씹어서 생기는 혈종일 수 도 있고, 치근단염증으로 인한 누공일 수 도 있습니다.
혈종이라면 특별히 치료가 필요하진 않지만, 치근단염증이라면 신경치료를 해야합니다.
이밖에 다른 문제가 있을 가능성도 있기때문에, 정확한 진단을 위해 치과에서 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