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1.04

소금사막이 생기는 과학적 현상이 궁금해요.

사막하면 으레 끝없이 펼쳐진 누런 모래밭이 떠오르는데요. 볼리비아에 우유니 사막은 온통 눈처럼 흰색 소금사막이던데요. 소금사막이 생기는 과학적 현상이 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고운푸들16
    고운푸들1623.11.04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소금사막마다 차이가 있지만, 말씀하신 우유니 소금사막은 지각변동의 결과입니다.

    지각 변동으로 솟아 올랐던 바다가 빙하기를 거쳐 2만년 전 녹기 시작하며 이 지역에 거대한 호수가 만들어졌습니다.

    이 후 건조한 기후가 계속되며 물이 모두 증발하고 소금 결정만 남으면서 우유니 소금사막이 형성된 것이죠.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오면 땅속의 염분이 물애 희석되었다가 비가 오지 않는 건기에 물이 모두 증발되면서 땅 표면에 소금이 남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소금사막은 바다가 물이 증발하여 생긴 현상을 말합니다.

    화산활동 등 지각변동에 의해서 바닷물이 호수로 되고 이 물이 마르면서 소금이 남게 된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소금사막이 있는 지역은 과거 지각변동이 일어나면서 이 바다가 높이 솟아올랐고, 빙하기를 거치면서 거대한 호수로 변하게 된 것이죠.

    건조하고 강수량이 적은 기후로 인해 호수의 물은 오랜 세월이 흐르며 모두 증발하고, 이전의 바다에서 축적된 염분이 그대로 남아있게 되며 소금사막이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볼리비아의 우유니 사막은 흰색으로 유명한 소금사막입니다. 이러한 소금사막이 형성되는 과학적 현상은 증발과 염분 농축에 기인합니다.

    우선, 우유니 사막은 주변 지역의 강이나 호수에서 유입되는 물이 증발하면서 형성됩니다. 이 증발 과정은 일정 기간 동안 반복되어 수많은 해수가 증발하면서 염분이 농축됩니다.

    염분이 계속해서 농축되면, 물에 용해된 소금이 과다하게 남게 되고, 이 소금은 표면에 축적됩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소금은 건조하고 단단한 표면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것이 소금사막의 백색 흙과 같은 모습을 만들어냅니다.

    또한, 소금사막은 기후 조건에 따라 형성되기도 합니다. 우유니 사막은 건조하고 거의 비가 오지 않는 기후 조건에서 형성되었기 때문에, 증발과 염분 농축이 더욱 진행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