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인애플속 피보나치수열 찾는방법 어떻게 봐야하는 거죠?
파인애플 속 피보나치 수열에 관한 기사를 봤는데, 파인애플 겉에 나타나는 피보나치수열을 찾는 그림이 설명과 안맞는거 같기도하고 어떻게 봐야하는건지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 파인애플의 피보나치를 찾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아래는 제가 읽은 기사 내용입니다.
파인애플 껍질은 육각형 알맹이들이 서로 다른 3종류의 나선 방향으로 얽혀 이뤄져 있습니다. 피보나치 수열은 이 나선의 개수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같은 방향의 나선의 수가 꼭 5, 8, 13, 21 같은 피보나치 수가 되기 때문입니다. 아래 그림처럼 전체 껍질을 펼쳤을 때, 같은 육각형 알맹이를 기준으로 ①번 방향 나선은 5줄이 나오고, ②번 방향 나선은 8줄, ③번 방향 나선은 13줄이 나옵니다.
파인애플 껍질의 표면을 자세히 보면, 육각형 알맹이들이 서로 연결되어 여러 방향으로 나선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이 나선들은 일반적으로 세 가지 주요 방향으로 나타납니다. 각 방향으로 나선을 따라 육각형들을 세어보면, 피보나치 수열은 연속된 숫자들이 이전 두 수의 합으로 이루어진 수열입니다. (ex: 0, 1, 1, 2, 3, 5, 8, 13, 21, ...). 파인애플에서는 한 방향의 나선을 따라 육각형의 수가 피보나치 수열의 일부에 해당하는 값을 가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림에서 설명한 것처럼, 각 나선 방향(①, ②, ③)에 대해 육각형을 따라가며 세어보면, 파인애플에서는 흔히 세 가지 나선 방향 중 하나는 5개의 줄을, 다른 하나는 8개의 줄을, 그리고 마지막 하나는 13개의 줄을 가질 수 있습니다. 그림에서 보여지는 방식대로, 파인애플의 전체 껍질을 펼쳐서 구현해보면, 각 나선이 어떻게 육각형과 연결되는지 더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피보나치 수열은 이탈리아 수학자 레오나르도 피보나치의 이름을 딴 수열이며 1, 1, 2, 3, 5, 8, 13, 21, 34, 55, 89, 144…처럼 두 개의 1로 시작해서 연이은 두 수를 더해 다음 항을 만드는 수열입니다. 해바라기, 솔방울, 나뭇가지 배열, 수벌의 가계도 등 자연의 모습이나 식물의 생장을 설명할 때 피보나치 수열은 빼놓을 수 없으며, 파인애플 역시 그 예시 중 하나입니다. 파인애플 껍질은 육각형 알맹이들이 서로 다른 3종류의 나선 방향으로 얽혀 이뤄져 있는데요, 피보나치 수열은 이 나선의 개수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같은 방향의 나선의 수가 꼭 5, 8, 13, 21 같은 피보나치 수가 되기 때문입니다. 올려주신 이미지 속에서 파인애플 전체 껍질을 펼쳤을 때, 같은 육각형 알맹이를 기준으로 ①번 방향 나선은 5줄이 나오고, ②번 방향 나선은 8줄, ③번 방향 나선은 13줄이 나옵니다.
파인애플의 피보나치 수열을 찾는 방법은 파인애플 껍질에 나타나는 육각형 알맹이들의 나선 배열을 관찰하는 것입니다. 첨부된 이미지에서 볼 수 있듯이, 파인애플의 알맹이들은 시계 방향으로 감기는 빨간색 나선(③), 반시계 방향으로 감기는 노란색 나선(②), 그리고 수직에 가까운 초록색 나선(①)의 세 가지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습니다. 각 나선의 수를 세어보면 초록색 나선은 5개, 노란색 나선은 8개, 빨간색 나선은 13개로, 피보나치 수열의 연속한 세 수와 일치합니다. 따라서 파인애플의 피보나치 수열을 관찰하려면 한 알맹이를 기준으로 각 방향의 나선을 따라가며 그 수를 세어보면 됩니다. 파인애플의 크기가 클수록 더 높은 피보나치 수(21, 34 등)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해당그림은 원리는 맞지만 실제 파인애플과 다른 느낌이라 헷갈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실제 파인애플로 직접 세어보면 확실히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설명에 나선 개수가 5,8,13으로 되어있는데 보통 8,13,21개입니다.
밑둥부분의 알맹이 부터 세기 시작하며
육각형인 파인애플 알맹이의 이어진 변을 따라 나선을 그려나가면 됩니다.
시계방향, 반시계방향, 세로의 3가지 나선을 가집니다.
(알맹이가 정육각형이 아니라 세로선은 헷갈릴 수 있음)
방향에 따라 나선의 수가 피보나치 수열을 따릅니다.
세로선으로 분등하면 21개
긴나선의 방향은 파인애플마다 시계방향,반시계방향으로 다르지만 각각 8개 13개가 나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