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훈훈한두꺼비124
훈훈한두꺼비12423.06.27

소련이 러시아로 바뀐 이유는 무엇인가요?

소비에트 연방으로 불렸던 소련 시절 폴란드, 우크라이나 등 동유럽의 여러 국가가 연합해 있었는데 어쩌다가 소련이 해체되게 되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6.27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22년 12월 30일에 건국된 소련은 건국 69주년을 4일 앞둔 1991년 12월 26일 붕괴하였습니다. 소련이 무너지면서 소련으로부터 독립한 국가들은 새롭게 국제 사회에 등장하였다. 소련이 해체되면서 공산진영 또한 막을 내리며 20세기 후반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세력이 이념적으로 대립하던 냉전 시대가 공식적으로 완전히 막을 내렸다고 합니다.

    1991년 12월 8일에 '독립국가연합(Commonwealth of Independent States : CIS)'의 결성을 선언했습니다. 여기에 다른 공화국들도 찬성의 뜻을 밝혔고, 마침내 11개국이 12월 21일에 카자흐스탄공화국의 수도 알마티에서 '독립국가연합'의 창설을 선언했습니다. 이로써 소련은 해체되었으며, 고르바초프는 1991년 12월 25일에 소련 대통령직을 사임했고, 핵무기 통제권을 소련의 계승자로 공인된 러시아연방공화국의 대통령 옐친에게 인계했다. 미국은 12월 26일에 러시아연방공화국을 소련의 계승자로 공인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 러시아 제국은 전제 군주제라는 차르(왕)이 군림하던 나라였음

    2. 러시아 제국의 백성들은 먹고 살기가 힘들었지만 차르와 귀족들은 잘 살았음.

    3. 블라디미르 레닌이라는 사람이 나타나 전제 군주제를 없애자고 주장하면서 혁명을 일으킴.

    4. 대부분의 백성들이 이 혁명에 동참하면서 차르를 물리치는데 성공함 (2월 혁명)

    5. 혁명이 끝나고 러시아에는 노동자 의회인 "소비에트" 가 수립되고 "임시정부"가 수립됨.

    6. 당시 참전 중이던 제 1차 세계대전에 대해 소비에트와 임시정부는 각자 다른 주장을 함.

    소비에트는 제 1차 세계대전에서 나와야 한다 했고 임시정부는 계속 해야 한다고 주장함.

    7. 임시정부의 힘이 조금 더 쎘기 때문에 임시정부 주장대로 전쟁을 계속했으나 상황이 악화됨.

    8. 임시정부는 "러시아 공화국"을 수립하였으나 민중들은 이에 반감을 가지고 있었음.

    9. 임시정부는 소비에트를 배제하고 부르주아와 지주들의 각종 권리를 늘림.

    10. 당시 소비에트의 우두머리였던 레닌이 "지금이 정권을 잡을 때다" 라며 임시정부를 공격함. ​(10월 혁명)

    11. 소비에트가 승리를 했지만 이에 반발하는 임시정부 세력은 백군이 되어 내전을 일으킴.

    12. 내전에서 소비에트(적군=붉은 군대)가 승리했고 결국 러시아는 레닌의 뜻대로 사회주의 국가가 됨.

    13. 러시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던 4개국이 사회주의 국가를 건설하자 합의했고 그렇게 소련이 세워짐.

    중간중간에 빠진 부분이 몇몇 있습니다만 중요한 부분은 다 넣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17년 11월 7일, 러시아에서 레닌이 이끈 러시아사회민주노동당 볼셰비키파가 정권을 장악하고 11 월 15일에 ‘러시아 제 민족의 권리선언’을 발표하여 ‘분리와 독립국가형성의 권리를 포함한 러시아 제 민족의 자유로운 입헌군주제’을 옹호한다고 주장하였다. 그 후 내전과 관련하여 핀란드와 발트3국이 러시아에서 독립하였다. 1922년 12월 30일에 ‘제 민족의 자발적인 국가결합체’로서 소비에트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성립이 선언되었다. 그러한 경위가 제시하는 바와 같이 당초의 정권의 의도로서는, ‘제 민족의 감옥’ 제정 러시아에서의 민족 해방이 지향되어 각 민족의 민족어에 의한 출판과 교육이 장려되었다.


    그러나 레닌에 의해 ‘대 러시아 민족주의자’라고 비판되었던 그루지야인 스탈린이 1920년대 중반에 권력을 장악하자 민족 기본권리의 원칙은 점차 유명무실하게 되었다. 무엇보다 큰 원인은 국가와 경제의 중앙집권체제가 확립되어 러시아인의 실제상의 권한이 증대한 것에 있다. 각 공화국의 당 제1 서기에는 해당민족의 지도자가 취임 하였지만 제2 서기에는 러시아인이 차지하여 중에 연결되는 실권을 그가 장악하였다. 민족어의 사용도시와 문학 이외에는 사용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소수민족의 부모도 장래를 생각하여 자녀의 러시아어 교육을 원하였다. 1930년대에 국제위기가 절박하자 스탈린은 유대인, 독일인, 타타르인 등을 집단적으로 강제 이주시켰다.

    제2차 세계대전 후 스탈린 비판이 이루어져 그 난폭한 민족정책은 시정되었지만 러시아인 중심의 국가ㆍ경제정책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단, 브레즈네프 정권하에서 국내의 다원적인 요구가 강해짐에 따라 연방 내의 제 민족, 특히 중앙아시아의 제 민족의 권한이 확대되어 정치, 경찰, 교육 등의 ‘현지화’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그것은 권리의식으로 자각한 소수민족에게 요구실현에 대한 차이의 크기를 깨닫게 하는 결과를 낳아 인종분쟁을 확대시켰다.


    1985년에 고르바초프가 당서기장으로 취임하여 개혁을 시작하자 연방 내에서 억압되어 왔다고 느낀 제 민족이 일제히 민족의 자기주장을 하여 카프카스 지방 등에서 무력분쟁이 확대되었다. 1940년에 스탈린에 의해 소련에 합병된 이래 독립을 요구해 온 발트3국은 1990년에 독립선언을 하였지만 1991년에 소련군이 거기에 개입하자 국제적 비난이 쏟아졌다. 연방해체에 대한 위기감으로 취해진 보수파와 군 수뇌부가 8월에 쿠데타를 시도하였다가 실패함으로, 연방을 유지하고자 하는 계기를 잃게 되었다.

    1991년 9월 6일, 소련국가평의회는 발트3국의 독립을 정식으로 승인하였다. 12월 8일에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로루시의 슬라브계 3국이 ‘독립국가연합’(CIS)를 창설하는 협정에 서명하였다. 그 후 발트3국과 그루지야를 제외한 구 소련 의 11개의 공화국이 12월 21일 알마아타의 정상 회의에서 CIS에 참가하는 협정에 서명하였다. 이렇게 하여 동년 12월 31일 소비에트연방은 소멸하였다.


    단, 아제르바이잔은 CIS 협정을 비준하지 않았으며 또한 CIS의 규약, 통일정치기구, 통일군 등을 둘러싼 협의는 난항을 거듭하고 흑해함대의 관할권을 둘러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이 격화하는 등, 정치, 군사면에서의 기구구축에는 성공하지 못하였다. 한편, 경제면에서는 러시아에 의한 석유공급의 대폭감소, 밀접한 상호의존 관계에 있던 생산체제의 단절은 모든 국가에서 심각하여 1993년 9월에 12개국이 공동체경제동맹 조약을 체결하였다.

    출처 : 21세기 정치학대사전


  • 안녕하세요. 안경국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소련 연방은 1922년에 설립되었으며, 여러 공산주의 국가들이 통합된 국가였습니다. 이 연방은 러시아를 중심으로 다른 공산주의 국가들과 합쳐져 형성되었습니다. 그러나 1991년 12월에 소련 연방이 공식적으로 해체되고, 대체로 러시아를 기반으로 한 러시아 연방이 만들어졌습니다.


    소련이 러시아로 변하는 주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공산주의 붕괴: 1990년대 초반, 소련 내부에서 공산주의 체제에 대한 불만과 경제적인 문제가 증가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공산주의 체제가 붕괴되고, 소련의 통합이 불안정해지면서 다른 공산주의 국가들이 독립을 선언하였습니다.

    2.독립 운동: 소련의 다양한 공산주의 국가들이 독립을 선언하면서, 러시아 자체의 독립 운동이 더욱 확대되었습니다. 러시아에서도 독립 운동이 강해지면서, 러시아는 소련의 후속 국가로서 독립을 선언하게 되었습니다.

    3.국가의 재편성: 소련의 해체 이후, 러시아는 새로운 국가로 재편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러시아 연방이 탄생하게 되었으며, 현재까지 러시아는 독립적인 국가로서 존재하고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소련이 러시아로 변한 이유는 공산주의 체제의 붕괴, 다른 공산주의 국가들의 독립 선언, 그리고 러시아 내부의 독립 운동과 재편성 등이 결합하여 이뤄졌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소련은 해체되고 러시아는 독립적인 국가로서 새로운 모습을 갖추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소련은 프롤레타리아 독재, 즉 공산당 일당 독재이었던 데 반해 러시아는 의회민주주의와 다당제를 취하고 있는 민주주의 체제입니다. 중국은 1949년 이래 공산당 이외 다른 정당은 허용되지 않고 공산당 일당 통치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으나 러시아에는 야당이 존재하며 공산당은 미약한 야당 중의 하나일 뿐입니다. 소련 시절에는 국가의 최고지도자를 국민들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공산당 내부 결정에 의해 선출하였으나 현재 러시아에서는 국민들이 직접선거를 통해 대통령을 뽑습니다. 소련은 명목상의 의회를 갖고 있었을 뿐이나 러시아는 국민들이 직접선거로 뽑은 의원들로 구성된 의회가 있어 행정부를 견제하고 있습니다. 형식적으로는 러시아는 의회 민주주의 국가 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조유성 AFPK입니다.

    ✅️ 소련이 붕괴되어 우크라이나, 폴란드 등이 독립해 하나의 국가가 된 것이며(* 고르바초프의 개혁, 개방 정책의 일환에서 해체되었다고 볼 수 있음.), 공산주의 + 사회주의로 여러 국가를 묶어서 운영하기 어렵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준 게 바로 소련의 해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