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건물 내진설계에 등급들은 어떻게 이루어져있나요?
우리나라도 지진 안전지대라는 인식이 예전에는 팽배했으나 최근 몇 년 사이에 여러 곳에서 지진이 일어나다보니 이젠 지진에 대비해야된다는 우려의 목소리들이 많이 나와서 제도적으로도 손을 보고 있다고 하더라고요.
건물 내진 설계의 경우도 그러한 것들 중 하나인데 이것도 등급이 따로 나뉘어져 있다고 하더라고요.
우리나라에서 건물 내진설계엔 등급이 어떻게 분류되어 있는지 알고 싶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
내진설계는 등급에 따라 건물의 강도가 다르게 설정하고 있습니다.
내진 1등급은 최고 수준의 내진 성능을 요구하는 등급으로 병원, 소방서, 경찰서, 정부청사 등 주요 공공건물에 적용되며 리히터 규모 7.0 이상 견딜 수 있는 지진 강도가 입니다.
내진 2등급은 중요 시설로 높은 내진 성능을 요구하는 등급으로 학교, 대형 상업시설, 고층 아파트에 적용되며 리히터 규모 6.0~7.0을 견딜 수 있는 지진 강도가 입니다.
내진3등급은 일반적으로 내진 성능을 요구하는 등급으로 중소형 상업시설, 일반 주거시설에 적용되며 리히터 규모 5.0~6.0을 견딜 수 있는 지진 강도가 입니다.
내진4등급은 최소 내진 성능을 요규하는 등급으로 소규모 건물, 창고 등 비주거 건축물에 적용되며 리히터 규모 5.0 이하를 견딜 수 있는 지진 강도가 입니다.
우리나라도 지진에 안전지대가 아니어서 6.0 이상의 지진에도 견딜 수 있는 기준을 적용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