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브레튼우즈 체제에서 금은 어떤 역할을 했나요?

2차세계대전이 끝나고 미국을 중심으로 브레튼우즈체제가 되었는데요 그렇다면 이 브레튼우즈체제에서 실물금은 어떤 역할을 해왔는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브레튼우즈 체제에서 금은 국제 통화 시스템의 기축 기준이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당시 미달러는 금과 직접 교환 할 수 있어고 (1온스에 35달러) 다른 나라 통화는 달러에 고정 환율로 연동 되어 있었죠.

    즉 금/달러/각 국 통화 이런 구조로 달러는 금의 대리 역할을 하였고 세계 기축 통화가 되면서 금은 시스템의 신뢰 기반의역할을 하였습니다.

    이 후 이 체제는 1971년 닉슨 쇼크로 금태환이 중단되며 종료 되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안정적인 경제를 운용하기 위해서 금본위제를 본격적으로 도입하게 된 계기가 되었습니다

    • 이 때 금을 얼마나 보유한지에 따라서 달러를 그만큼 발행하기로 했습니다

    • 그렇기에 사람들은 해당 달러를 믿고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 이 때 금이 많을 수록 많은 돈이 발행가능하기에 금이 통화정책의 핵심이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전문가입니다.

    브레튼우즈 체제에서는 달러가 금과 연결된 기준 통화로 작동했어요.

    미국은 1온스당 35달러로 금을 고정하고 다른 나라는 자국 통화를 달러에 고정했죠.

    즉, 금은 달러의 가치를 뒷받침하는 실물 자산이었고 달러는 전 세계 통화의 중심이 되었어요.

    덕분에 국제무역이 안정됐지만 미국의 금 보유량보다 달러 발행이 많아지면서 결국 1971년 금 태환이 중단되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브레튼우즈 체제에서 금은 국제 통화 질서의 중심이었습니다. 미국 달러를 금 1온스=35달러로 고정해 달러와 금을 교환할 수 있게 하였고, 다른 국가들은 각국 통화를 달러에 고정시켰습니다. 이로써 금은 전 세계 통화의 최종 가치 기준이자 신뢰의 근거가 되었으며, 달러가 사실상 기축통화가 되는 역할을 했습니다. 하지만 미국의 금 보유량 한계와 무역적자 누적으로 시스템이 흔들리면서, 1971년 금태환 정지로 브레튼우즈 체제는 붕괴하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1944는 미국 뉴햄프셔주의 브레튼우즈에서 열린 국제 회의를 통해 탄생한 브레튼우즈 체제는 국제 통화 질서의 안정화를 목표로 했습니다. 이 체제에서 금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브레튼우즈체제는 기본적으로 금환본위제를 근간으로 했습니다. 미국 달러화가 국제 기축통화로 지정되었으며, 미국 달러는 금 1온스당 35달러라는 고정 환율로 금과 교환될 것을 약속했습니다 이는 미국 연방준비은행이 외국 중앙은행의 달러를 요청 시 언제든지 고정된 가격으로 금으로 바꿔줄 의무를 진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즉, 달러의 가치는 금이라는 실물에 의해 뒷받침되는 것이었습니다. 세계 주요 국가들의 통화는 자율적인 변동 환율제가 아니라, 미국 달러에 공정된 환율을 유지했습니다. 각국 통화는 달러 대비 약 1% 범위 내에서만 변동할 수 있었고, 이 범위를 벗어날 경우 해당 국가의 중앙은행이 개입하여 환율을 안정시켜야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위와 같은 경우 브레튼우즈 체제에서는

    미국 35달러를 지급하면 금 1온스를 얻는 등

    금과 달러의 가치가 연동되었으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브레튼 우즈 체제에서 금은 어떤 역할을 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당시 금본위 제도였습니다.

    시중에 유통되는 돈 만큼 금이 은행에 있어서

    언제라도 돈을 갖고가면 금으로 바꿀 수 있었기에

    돈의 가치가 유지된 것이었습니다.

  • 브레튼우즈 체제에서 금은 국제 통화 질서의 기준 자산이자 달러의 신뢰를 보장하는 핵심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미국은 금 1온스를 35달러에 고정해 달러와 금을 교환해주는 역할을 하였으며, 다른 국가들은 달러를 중심으로 고정환율 체계를 유지했습니다.

    즉 금은 직접적인 거래 수단은 아니었지만 달러가 금과 연동됨으로써 국제 통화 시스템의 신뢰 기반이 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달러가 사실상 금을 대체하는 기축통화가 될 수 있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브렌트우즈 체제는 세계 2차대전이 끝난 이후에 미국, 캐나다, 유럽, 일본, 호주 등이 출범시킨 금본위 체제로, 당시 금본위 체제에서 세계 각국들이 금 모으기에 혈안이 되었는데요. 중앙은행들의 금 사들이기는 1967년에 금값 폭등 사태로 이어져 브렌트우즈 체제를 붕괴시켰습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브레튼우즈체제기간은 1944년 1971년기간이며 이때 금본위제를 형성되어 달러가 기축통화된 시대를 이 체제라고 합니다.

    당시에 금은 미국달러와 고정환율형태로 페깅된 구조였으며 일종의 지금의 달러스테이블코인과 얼핏 유사성도 있습니다 당시 미국은 금1온스당 35달러의 고정가격으로 유지되었으며 특정 나라가 요청시 해당금을 외국 중앙은행에 지급해야했습니다. 즉 금이 달러의 신뢰를 기반으로 해주도록 역할을 해준게 브레튼우즈체제라고 보시면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