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상냥한참매162
상냥한참매162

레버리지는 계좌가 녹을 수 있다는 표현을 왜 사용하나요?

레버리지는 왜 계좌가 녹는다고 표현하나요? 주가가 하락할 때는 다 하락하는 것일텐데 왜 레버리지만 계좌가 녹는다는 표현을 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레버리지는 지렛대 효과로 많은 수익률을 키우지만 손실 또한 그만큼 확대 됩니다. 예를 들어서 2배 레버리지 상품은 기초자산이 10% 하락 할 시 20% 손실이 나게 됩니다.

    이것이 반복되면 원금이 급속히 줄어들게 됩니다. 이처럼 짧은 기간에 자산이 급감하여 계좌 잔고가 "녹는다"라는 표현을 사용 합니다.

    특히 하락장에서 복리 손실 효과로 회복이 어려워지기에 레버리지 사용은 신중히 해야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레버리지 계좌가 녹는다는 표현은 레버리지 투자의 극단적인 손실 위험성을 비유적으로 나타내는 말입니다. 마치 얼음이 녹아 사라지듯 투자 원금이 급격하게 줄어들어 결국 강제 청산되거나 투자금 전체를 일게 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주가가 하락할 때 모든 종목이 하락하는 것은 맞지만 계좌가 녹는다는 표현은 여러가지 경우가 특별하게 쓰입니다. 레버리지는 빌린 돈으로 투자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2배 레버리지라면 내 돈 100만 원에 100만 원을 더 빌려 총 200만 원어치 주식을 사는 것입니다. 주가가 오르면 수익도 2배가 되지만, 주가가 내리면 손실도 2배가 됩니다. 만약 주가가 50% 하락한다면, 일반 투자자는 원금의 절반을 잃지만, 2배 레버리지 투자자는 원금 전부를 잃게 됩니다. 빌린 돈까지 감당하지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3배 레버리지라면 33.3%만 하락해도 원금을 전부 잃게 됩니다. 이처럼 작은 하락에도 계좌 전체가 위태로워지는 것이 레버리지의 가장 큰 위험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레버리지 계좌가 녹는다는 말은 장기적으로 원금이 지속 감소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레버리지는 높은 수익을 낼 수 있으나 잘못되면 원금이 사라질 수 있어 계획적으로 해야합니다.

    음의 복리효과라고 불리며 일일 기준으로 수익과 손실이 재조정되는 레버리지 상품은 기초자산 가격은 안움직여도 레버리지 계좌 손실이 축적됩니다.

    또한 높은 수수료도 원금 감소의 요인일 수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레버리지는 주가가 하락하면 2배짜리는 2배로 하락하고 3배짜리는 3배로 하락하는게 레버리지죠

    레버리지 3배짜리 33프로 이상하락하면 원금 전액손실입니다 -30프로 하락해서 -90프로 하락하게되면 원금 10프로 남는거죠 10프로 남은 원금 복구할라면 1000프로 올라야합니다

    아주 단순하게 1만원에 산게 -30프로면 7천원인데 레버리지 3배는 1천원 남는거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1천원 남았는데 주가는 7천원인거죠 7천원 주가가 7만원 가야 본전찾는 구조입니다

    그러니 잘못하면 돈이 녹는게 맞습니다!

    1명 평가
  • 레버리지 계좌가 녹는다는 표현은 높은 레버리지 비율과 복리효과로 인해 작은 시장 변동에도 큰 손실이 발생하고 수수료가 비싼 레버리지 상품 특성상 장기 보유 할수록 손해를 볼 확률이 큰 것을 의미합니다. 레버리지 ETF는 기초자산 가격이 원래 자산으로 돌아와도 음의 복리효과로 인해 레버리지 계좌는 손실을 보게 됩니다. 또한 높은 거래수수료와 운용보수 비용 등으로 인해 장기보유 할수록 투자자는 불리해지게 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레버리지 투자는 지수 변동률의 2배 또는 3배 수익/손실이 발생하기 때문에 하락장이 오면 손실 폭도 기하급수적으로 커져서 원금 대부분이 사라질 수 있는 위험이 있습니다.

    그래서 투자자들사이에서는 계좌가 녹는다는 표현을 사용하는데 이는 급격한 손실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말 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레버리지 투자가 계좌를 녹일 수 있다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현물 투자를 했다면 표시되는 숫자 만큼 주가가 내려가지만

    2배, 3배 레버리지를 한다면 그 수치에서 곱하기 2배, 3배 수치로

    주가가 내려갈 수 있기에

    계좌가 녹는다는 표현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레버리지 투자는 특히나 원금 손실률이 더 높기 때문에 계좌가 녹는다는식의 표현을 사용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레버리지라는 말은 신용을 쓴다는 말입니다 이를 이용해서 기초자산인 주가가 10%상승하면 레버리지를 사용하여 2배가 되는 구조로 신용을 자기자본 만큼 빌린다면 20%상승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됩니다.

    문제는 빌린 자금이므로 주가가 10%하락하면 반대로 20%하락하는 위험성을 갖게 됩니다 그리고 이런 주식대출은 주식평가담보대출로 이루어지고 어느정도 가격이 하락하게 되면 담보가치가 신용을 비린대출금액보다 가치가 작아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즉 이럴때 강제적인 청산이 발생되므로 아예 계좌가 녹아버려서 0이 되어버리는 불상사까지 발생될 수 있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레버리지는 투자 수익과 손실이 몇 배로 커지는 구조라, 주가가 하락할 때 손실도 그만큼 크게 누적됩니다. 특히 시장이 등락을 반복하거나 횡보할 때 "음의 복리 효과"로 손실이 쌓여 계좌 잔고가 급격히 줄어드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그래서 일반 투자보다 훨씬 빨리 자산이 줄어드는 것을 "계좌가 녹는다"고 표현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레버리지 상품은 떨어질때 배로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물론 상승해도 배로 상승하기는 하지만, 원금이 많이 하락한 상태에서는

    배로 상승한다고 해도 다시 회복하기 까지 더 많은 상승률이 필요해지기 때문입니다.

    이에 보통 레버리지는 장기투자에 적합하지 않다는 표현을 쓰기도 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그 이유는 장기적으로 투자했을 때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면서 음의추종을 하는 것이 레버리지 계좌의

      특징이기 때문입니다.

    • 일반적으로 1배를 추종하는 계좌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현상이 레버리지 계좌에서는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뽑힌다고 볼 수 있습니다.

    • 따라서 레버리지 투자는 계좌가 녹는다는 표현을 합니다.

    감사합니다.

  • 레버리지는 주가가 원웨이로 상승하거나 하락하면 크게 벌거나 잃지만 주가가 오르락 내리락하면 변동성 안에서 녹게 됩니다.

    1000원으로 시작한 주식이 10% 상승하면 주식은 1100원이 되고 3배 레버리지는 1300원이 됩니다.

    다음날 주식이 10% 하락하면 주식은 990원이 되고 3배 레버리지는 910원이 됩니다.

    다음날 주식이 10% 상승하면 주식은 1089원이 되고 3배 레버리지는 1183원이 됩니다.

    다음날 주식이 10% 하락하면 주식은 980원이 되고 3배 레버리지는 828원이 됩니다.

    다음날 주식이 10% 상승하면 주식은 1078원이 되고 3배 레버리지는 1076원이 됩니다.

    다음날 주식이 10% 하락하면 주식은 970원이 되고 3배 레버리지는 753원이 됩니다.

    다음날 주식이 10% 상승하면 주식은 1067원이 되고 3배 레버리지는 978원이 됩니다.

    이렇듯, 레버리지는 한방향으로 쭉 갈때 올라타서 단기간에 먹고 나오는 상품이지 위아래로 흔들리는 변동성을 다 겪으면서 장기투자 하는 상품이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전문가입니다.

    계좌가 녹는다는 표현은 손실이 너무 커서 자산이 급격히 증발하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말하는 거예요.

    레버리지는 원래 자산보다 2배, 3배로 수익률을 증폭시키기 때문에, 주가가 하락하면 손실도 2~3배로 확대돼요.